금천구의 파격 복지실험
수정 2012-01-04 00:00
입력 2012-01-04 00:00
복지상담통합콜센터·마을단위 봉사단 도입
“정부 기관에 직접 찾아가 마을 단위 민간 사회복지 봉사자 서비스를 도입하고 통합복지콜센터를 만들겠다고 했더니 ‘일 벌이지 말고 있으면 그냥 사회복지사 수를 늘려 주겠다’는 핀잔만 돌아왔습니다. 하지만 실망하지 않고 정부가 못하면 우리라도 나서서 능동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겠기에 직접 복지 정책을 만들었습니다.”
차 구청장은 “관내에 사회복지기관이 있지만 직접 방문하는 비율이 10% 수준에 그쳐 찾아가는 복지, 가정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요즘 논쟁이 되고 있는 복지 예산의 총액을 올리는 부분도 맞지만 서비스 전달 체계를 개선하는 작업을 동시에 추진하는 게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구는 오는 5월부터 복지서비스 상담에서 혜택까지 한번에 제공하는 ‘복지상담통합콜센터’도 도입한다. 실제 운영되면 서울시 자치구 가운데 최초다.
현재는 부서별로 복지사업이 나뉘어 있어 지자체마다 ‘전화돌림’ 현상을 빚는다. 차 구청장은“문제 해결을 위해 5년 이상 복지 업무를 담당한 공무원을 콜센터에 배치해 원스톱 행정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글 사진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2012-01-0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