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 조합서 어린이집 직영하자”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2-03-02 01:12
입력 2012-03-02 00:00

서울 구청장 4명 유럽 협동조합 연수

구청장 4명이 7박9일간 이탈리아 볼로냐와 밀라노, 프랑스 파리와 릴 등을 돌아본 뒤 지난달 27일 귀국했다. 차성수 금천구청장, 김성환 노원구청장, 이동진 도봉구청장, 김영배 성북구청장이 유럽을 찾은 건 바로 협동조합을 통해 마을 만들기와 사회적 경제를 활성화시키려는 고민 때문이었다.

이미지 확대
지난달 19일부터 27일까지 유럽연수를 다녀온 김영배(앞줄 왼쪽부터) 성북구청장, 차성수 금천구청장, 김성환 노원구청장, 이동진 도봉구청장이 프랑스 릴 시청을 방문하기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희망제작소 목민관클럽 제공
지난달 19일부터 27일까지 유럽연수를 다녀온 김영배(앞줄 왼쪽부터) 성북구청장, 차성수 금천구청장, 김성환 노원구청장, 이동진 도봉구청장이 프랑스 릴 시청을 방문하기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희망제작소 목민관클럽 제공


희망제작소와 지방자치단체장 모임인 목민관클럽이 주최한 이번 연수에는 지자체 관계자들과 연구자 등이 참가했다. 최근 경제위기 속에도 협동조합 발전지역이 실업과 경기침체로 인한 타격을 덜 받는다는 게 알려지면서 새삼 주목받고 있다. 유엔은 올해를 세계협동조합의 해로 지정하기도 했다. 한국도 ‘협동조합 기본법’을 제정해 시행을 앞두고 있다. 연수에서 돌아온 이들이 곧장 한목소리로 강조한 것 역시 “협동조합을 사회적 기업, 마을 만들기와 어떻게 연계시킬지 영감을 얻었다.”는 것이었다.

차 구청장은 “농업, 재활용, 에너지, 육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체와 지속가능한 삶을 우선시하는 모습이 가장 인상적이었다.”고 꼽았다. 그는 “다음 세대에 빚을 넘기지 않고 함께 살아가는 길을 고민해 왔는데 협동조합이 중요한 촉매제가 될 수 있겠다는 걸 절감했다.”고 말했다. 이 구청장 역시 “조합원이 돈을 낸 만큼 행사하는 1원 1표가 아니라 1인 1표로 의사 결정에 민주적으로 참여하고, 수익을 일부 주주가 아니라 조합원 전체와 사회에 환원하는 방식은 고용 문제와 양극화 해결, 공동체 복원에 큰 힘이 될 것이란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한국 실정에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해 김성환 구청장은 육아 문제에 접목하는 방안을 꺼냈다. 그는 “현재 공립어린이집조차도 대부분 위탁 운영을 하는 실정”이라면서 “당사자 부모들이 직접 구성하는 협동조합이 어린이집이나 방과후학교를 직영한다면 재정 부담을 줄이고 보육 공공성을 높이는 동시에 마을 공동체도 확산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목민관클럽은 이달 중순까지 연수보고서를 펴낸다. 오는 23일 개최할 포럼에서 대표 발제를 맡는 김영배 구청장은 “협동조합이나 사회적 기업을 포괄하는 개념인 사회연대경제 포럼을 제안하겠다.”면서 “바로 우리가 지향해야 할 공동체 정신을 담은 경제체제”라고 덧붙였다.

강국진·정현용기자



betulo@seoul.co.kr

2012-03-02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