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체감경기 3년만에 최악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2-03-21 00:08
입력 2012-03-21 00:00

소비자태도지수 82.7 그쳐

올해 1분기 서울시민의 체감 경기가 2009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물가가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가계 빚 부담이 꾸준히 늘고 고용시장마저 악화돼 소비심리가 급속하게 얼어붙고 있다.

이미지 확대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1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2년 1분기 소비자 및 기업 체감경기 전망’을 발표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소비자태도지수’(CSI)는 올해 1분기 82.7을 기록, 전 분기에 견줘 3.3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2009년 1분기(78.3)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최근 5분기 잇달아 기준치 100을 넘어서지 못했다. 이 수치가 100 이상이면 시민이 경제 상황을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는 뜻이고, 100 이하면 반대다. 박희석 시정연 연구위원은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불투명하고 물가상승 압력이 지속되는 점을 고려할 때 소비심리가 쉽게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울 소재 기업의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업황실적지수’도 올해 1분기 78.1로 4분기 연속 하락했다.

향후 1분기 이후 기업의 업황실적을 전망하는 ‘업황전망지수’는 지난해 3분기 이후 3분기 연속으로 하락해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크게 약화된 상태다.

박 위원은 “서울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물가 안정, 고용 창출, 잠재성장력 회복 등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일자리 창출 프로그램에 예산을 우선 배분하고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고도화를 통한 경제 활성화와 도심 중소제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는 소상공인 지원·보호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2012-03-21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