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드 브리핑] 박 시장, 시의원에 사과 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2-03-23 00:26
입력 2012-03-23 00:00

직무계획 요구 거부 알고 대로 市 팀장 100명 정보공개 교육

지난달 중순 박원순 서울시장은 야당인 새누리당 소속 초선 시의원에게 직접 전화를 걸었다. 그리고 서울시가 저지른 중대한 잘못에 대해 사과했다. 올 1월 말 김용석(44·서초4·문화체육관광위원회) 시의원이 신임 박인배 세종문화회관 사장과 김홍희 시립미술관장의 직무수행계획서 등 자료를 시에 요청했다가 퇴짜를 맞은 게 발단이었다.

시 정보공개 시스템을 비판한 서울신문<2월 17일 자 30면> 칼럼 직후 박 시장은 실·국장들을 모두 소집해 정보공개 시스템 점검과 개선책 마련을 주문했다. 실·국장들은 “시장에게 엄청나게 깨졌다.”고 한다.

처음엔 박 시장이 평소 정보공개와 기록관리에 유달리 관심을 쏟아서 그러려니 했다. 하지만 그게 전부가 아니었다. 시는 지난달 13일부터 열린 시의회 임시회 직전에야 개인정보 보호를 이유로 자료를 내지 못한다고 연락했다.

김 의원은 본회의 신상발언을 통해 “상임위원회 출석을 거부하겠다.”고 폭탄선언(?)을 했다. 이에 박 시장과 기동민 정무수석이 전화를 걸어 사과하고, 시에서 사흘 뒤 자료를 제출하면서 파국을 막았다.

박 시장은 2010년 8월 한 모임에서 “민주주의가 잘 작동하게 하려면 국민에게 정보를 무장시켜야 한다.”며 “제 소원은 대한민국 정부가 가장 투명한 정부, 숨길 게 없는 정부, 하늘 아래 가장 당당한 정부가 되는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10여년 전인 참여연대 사무처장 땐 정보공개사업단을 만들어 투명한 정부 만들기 운동도 벌였다. 틈틈이 ‘투명한 서울시를 위한 과감한 정보공개’를 외친 박 시장의 눈에 산하 기관장 직무수행계획서를, 그것도 시의원 요구사항인데도 대놓고 모른 체하는 게 어떻게 보였을까. 그런 차에 ‘서울시 정보공개 시스템 엉망’이라는 보도가 나가자 박 시장의 분노가 폭발한 셈이다.

그 뒤 시는 다양한 대책을 쏟아내고 있다. 사상 처음으로 100명이 넘는 팀장들을 한자리에 모아 정보공개 교육까지 마쳤다. 하지만 지인에게 귀띔받은 얘기가 씁쓸하게 머리를 맴돈다. “서울시 고위 공무원을 만났는데 시장이 한 번 지시한 건 그냥 듣고, 두 번 말하면 대꾸만 하고, 세번째 언급해야 진짜 하라는 걸로 알고 움직인단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2-03-23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