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 어린이가 행복한 도시 만든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2-05-01 00:00
입력 2012-05-01 00:00
성북구가 5일 어린이날을 맞아 어린이가 구정의 주인이 되는 ‘어린이 친구(親區)’로 거듭나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전국 최초로 어린이 친화 도시 비전과 어린이 권리 선언을 발표하고 어린이의회와 청소년의회를 구성해 이들이 구정에 직접 참여하도록 제도적으로 보장한다.

김영배 구청장은 30일 서울시청에서 브리핑을 통해 ‘어린이가 행복한 도시’ 성북구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거듭 밝혔다. 김 구청장은 유엔아동기금(유니세프) 한국위원회와 협력 도시 협약을 체결, 어린이가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각종 사업을 함께 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어린이 권리 선언은 구에서 운영하고 있는 ‘어린이 구정참여단’ 단원들이 수차례의 토론을 통해 직접 작성한 것이어서 눈길을 끈다.

유니세프는 유엔 아동권리협약을 잘 실현하는 도시를 어린이 친화 도시로 선정한다. 이는 거주하는 도시에 대한 각종 의사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할 권리는 물론 거리를 안전하게 거닐 권리와 문화 활동에 참여할 권리 등 다양한 어린이의 권리를 온전히 실현하는 도시를 가리킨다. 전 세계 800개 이상의 도시가 어린이 친화 도시로 선정돼 있지만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선정된 도시가 없다.

김 구청장은 어린이 친화 도시뿐 아니라 구민들의 인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인권도시를 만들기 위해 서울 최초로 ‘인권 증진 기본조례’를 제정한다고 설명했다. 구는 이미 지난해 전국 최초로 감사담당관실에 인권팀을 신설한 바 있다. 올해는 조례 제정 등 법 제도를 정비하고 각종 인권교육을 통해 인권 기반을 조성한 뒤 인권도시를 위한 민관 거버넌스를 구축한다는 복안도 내놓았다. 조례에는 인권 보장을 위한 제도적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인권센터와 인권위원회를 구성하고 인권영향평가를 실시한다는 내용을 담을 예정이다.

어린이 건강권 확보 차원에서 과일 급식도 전국 최초로 시행한다. 전액 구 예산으로 4000만원을 들여 관내 6개 초등학교 학생 4400여명에게 과일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로써 기존에 반찬으로 제공하던 과일까지 더해 1주일에 1.3회이던 과일 제공 횟수를 2회까지 늘릴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는 나주 농산물 거점 산지유통센터를 과일 공급업체로 선정했다. 김 구청장은 “현재 어린이 80% 이상이 과일 권장 섭취량보다 적게 먹고 있는 실정”이라면서 “시범사업 만족도를 평가한 뒤 단계적으로 관내 모든 초등학교에까지 과일 급식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2-05-0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