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해도 책은 맘껏 볼 수 있게 ‘지식복지’ 추진할 때”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2-05-18 00:00
입력 2012-05-18 00:00

유종필 관악구청장, 시민단체 세미나서 강조

“지식은 어디나 비추는 햇살 같은 것이어야 합니다. 이제는 요람에서 무덤까지 ‘지식복지’를 해야 할 때입니다.”

이미지 확대
지난 16일 청미래재단이 주최한 지식콘서트에서 강연하고 있는 유종필 관악구청장. 관악구 제공
지난 16일 청미래재단이 주최한 지식콘서트에서 강연하고 있는 유종필 관악구청장.
관악구 제공
‘도서관 정책의 전도사’로 불리는 유종필 관악구청장이 이번에는 지식문화 확산을 위해 시민단체 세미나 강사로 나섰다. 유 구청장은 지난 16일 청미래재단이 개최한 제46회 지식PD씽크넷 지식콘서트에 첫 외부 강사로 초청받아 80여명과 지식문화도시 실현을 위한 정책 제안을 주고받았다. ‘지식문화특구 목민관, 유종필 관악구청장의 지식경영 이야기’라는 제목을 단 자리는 유 구청장의 과거 사진을 훑는 것으로 시작됐다. 유 구청장은 어릴 때부터 성장기, 기자 및 정당인·국회도서관장 시절 등의 사진을 보며 도서관과의 인연을 되짚었다. 이어 작은 도서관 건립, 북 스타트 운동, 어르신 자서전 만들기 사업, 잡 오아시스 개관 등 지식문화도시를 만들기 위해 관악구에서 추진한 다양한 정책에 대해 소개했다.

특히 ‘지식복지’ 개념에 대한 얘기는 참가자들로부터 많은 공감을 얻었다. 유 구청장은 “오늘날 가난한 집 아이가 굶지는 않지만 여전히 마음껏 책을 사보기는 힘들다.”며 “인류 역사상 도서관이 왕과 권력층의 전유물에서 수도사, 부르주아, 이어 공공의 영역으로 발전해 왔듯 이제는 물질 복지를 넘는 지식복지 도시들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임진철 청미래재단 이사장은 “책은 지혜의 등대로 도서관 이용 지수가 곧 선진국 여부를 가리는 척도”라며 “자치구에서 지식문화특구, 지식경영의 관점에서 정책을 어떻게 펼쳐 왔는지를 살펴보는 귀중한 기회였다.”고 말했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2-05-18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