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점 ‘위생 자율점검’ 믿을만하네
수정 2012-07-17 00:00
입력 2012-07-17 00:00
중랑, 시행 1년 만에 175곳 참여… 허위·부실로 제재 받은 업소 ‘0’
이런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인터넷 자율점검제’가 중랑구에서 1년 만에 성공적으로 정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6일 구에 따르면 지난해 첫발을 뗀 인터넷 자율점검제엔 175개 업소가 참여하고 있다. 대상은 831곳이다. 특히 허위·부실 점검으로 제재를 받은 업소가 단 한곳도 없어 눈길을 끈다. 영업주 스스로 위생점검을 한 뒤 그 결과를 인터넷을 통해 제출하는 제도가 연착륙했다는 이야기다. 인터넷 자율점검제는 업주에겐 자율성과 책임성을 부여하고 업소 위생 수준 향상으로 수요자의 만족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참여 업소는 서울시 식품안전정보(fsi.seoul.go.kr), 또는 중랑구보건소(www.healthcare.go.kr) 홈페이지에 접속해 자율점검을 한 뒤 점검 결과를 인터넷에 게재하면 된다. 주요 점검 내용은 식품위생법령에 규정돼 있는 위생 관리, 시설 기준, 영업자 준수사항, 건강진단, 원산지표시제 등 평소 위생공무원으로부터 점검받는 사항이다.
대상 업소는 지난해 150㎡ 이상 일반 음식점, 100㎡ 이상 식품 제조 가공업·휴게음식점·제과점·기타 식품 판매업에서 올해 집단급식소와 위탁급식영업으로 범위를 넓혔다. 참여 희망 업소는 분기별로 1회씩 연간 4회 점검을 실시하게 된다. 연 4회 성실하게 참여한 업소는 선정된 해당 분기부터 1년간 출입 점검을 면제받아 영업 시간 점검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물론 허위·부실 점검 업소와 자율점검 미참여 업소는 중점 출입 점검 리스트에 오른다. 중랑구 관계자는 “소비자 권익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조금만 안전에 허술해도 금세 신고를 하는 등 인터넷 시대를 맞아 업소 상황이 유리알처럼 드러나기 때문에 이 같은 시스템 정착에 도움이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2012-07-1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