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나무 많던 한강 저자도는 왜 사라졌을까
수정 2013-01-02 00:00
입력 2013-01-02 00:00
성동구 스토리 안내판 설치
저자도는 성동구 금호동4가, 옥수동 남쪽 한강본류와 중랑천이 만나는 지점에 자갈과 모래가 퇴적돼 형성된 삼각주 형태의 자연섬으로 닥나무가 많아 저자도라고 불렸다고 한다.
저자도는 조선시대 행정구역상으로는 경기 광주군에 속했으며 10여 농가가 있었다. 1914년 일제가 경성부의 행정 구역을 개정할 때 경기 고양군으로 이속됐다. 1925년 을축대홍수로 상당 부분이 유실됐고 당시 섬의 전체 면적은 119만㎡였다고 한다.
이후 1970년대 강남 지역에 택지를 조성하기 위해 저자도의 흙과 모래를 채취해 공유수면 매립용으로 사용하면서 저자도는 한강 수면 위에서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 고재득 구청장은 “안내표지판을 통해 주민들에게 명승 유적 저자도의 역사 기록을 널리 홍보하고 이 일대를 역사 문화적 명소로 가꿔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현석 기자 hyun68@seoul.co.kr
2013-01-02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