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포커스] 박칠성 구로구의회 도시건설위원장
수정 2013-02-19 00:28
입력 2013-02-19 00:00
전통시장 현대화, 지역 랜드마크로

남구로시장 현대화사업을 주도한 것도 지역에 대한 깊은 애정에서 비롯됐다. 남구로시장은 1970년부터 인접 구로시장과 더불어 대표적인 지역 전통시장으로 자리매김했지만 공식적으로 시장으로 인정받지 못해 서울시의 지원이 전무했다. 박 위원장은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차원에서 상인회와 지역 주민을 지속적으로 만나 인정시장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도왔다. 2010년 8월 27일 마침내 결실을 맺었다. 소방도로를 확보하고 노후 시설을 개선하는 조건으로 시장으로 등록된 것. 상인들은 감사의 뜻으로 박 위원장에게 감사패를 전달했지만 그는 “구청과 상인, 지역 주민 모두의 노력으로 해낸 것”이라며 공을 돌렸다.
박 위원장은 대학에서 건축학을 전공한 장기를 살려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남구로시장 현대화 사업도 추진했다. 박 위원장은 “하루 벌어 하루 먹고사는 상인들 입장에서는 현대화 사업을 추진할 여력이 없을 수밖에 없었다”면서 “백방으로 뛰어다닌 끝에 시비와 구비를 포함해 27억원을 들여 지난해 10월 현대화 사업 공사가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박 위원장은 시설관리공단 이전 계획에도 관심을 기울여 남구로시장 주차난을 해소하는 데 기여했다. 내년 12월을 목표로 승용차 200대를 주차할 수 있는 시설이 이곳에 마련된다. 박 위원장은 “남구로시장과 구로시장은 주민과 지역 상인들의 애환이 서려있는 곳”이라면서 “인근 구로시장도 빠른 시일 안에 현대화 사업을 추진해 전통시장이 지역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부지런한 것 외에는 잘난 것이 하나도 없는 사람”이라고 스스로를 겸손하게 평가했다. 작은 민원이든 큰 민원이든 주민의 민원이 많으면 많을 수록 더 힘이 난다는 그다. 박 위원장은 “처음 서울 땅을 밟았을 때 각박한 도시라고 생각했지만 구로구는 어느 지역보다 인정이 많고 주민과 대화하기 좋은 지역이라는 느낌을 가졌다”면서 “앞으로도 우직하게 최선을 다해 주민들을 돕고 싶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3-02-19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