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글로벌 시장 의회’] “국가가 못 푸는 문제 이제, 도시가 풀 때”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03-28 00:20
입력 2013-03-28 00:00

바버 美 뉴욕대 교수 지방정부 연합체 제안

“세계는 점점 상호의존적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그 속에서 도시들이 어떤 역할을 할지 고민해야 합니다.”

이미지 확대
27일 서울시청 신청사 8층 간담회장에서 열린 ‘글로벌 시장 의회’(Global mayor parliament)에 참석한 벤저민 바버(왼쪽) 뉴욕시립대 교수는 이와 같이 말했다. 그는 “세계에서 가장 강한 미국조차도 해결하지 못하는 국제 문제들은 수없이 많다”며 “그런 상황에 도시들이 역할을 할 수 있는지, 한다면 어떤 역할인지를 함께 얘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바버 교수는 세계적인 석학으로 ‘지하드 대 맥월드’, ‘강한 시민사회, 강한 민주주의’ 등을 저술한 사회학자이자 정치이론가다. 그는 최근 ‘만약 시장들이 세계를 통치했다면’(If mayors ruled the world)이란 저서를 통해 주권이라는 장애물에 갇힌 국가의 한계를 지적하고 도시 네트워크 등을 통해 문제 해결의 효율성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날 회의는 6개월 전 바버 교수가 박원순(오른쪽) 시장과 스카이프로 대화를 나누던 중 세계 시장들 간의 네트워크인 ‘시장 의회’(mayor parliament)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이에 동의한 박 시장이 바버 교수를 서울로 초청하며 열리게 됐다. ‘시장 의회’ 첫 회의라고 할 수 있는 이날 회의는 지구촌 문제 해결을 위한 도시의 역할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자리였다.

여기서 바버 교수는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이미 세계의 도시들이 글로벌 도시 네트워크 등을 통해 우리가 생각하는 비슷한 일을 하고 있다”며 “지방정부 연합체인 시티넷 등이 좋은 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 시장은 “도시들은 국가가 할 수 없는 일들을 할 수 있다”며 “한국과 일본은 적대적이지만 도시, 시민사회 교류는 활발하며 서울시는 평양에 축구대회와 오케스트라 공연 교류를 제안한 바 있다”고 말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3-03-2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