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물난리 대책, 서울시-자치구 ‘동상이몽’
수정 2013-05-22 00:50
입력 2013-05-22 00:00
서초구 “강남역 일대 지대 낮아 대심도 저류터널 필요”

서울 서초구는 최근 일본 스기나미구 방재 관련 공무원, 모리타 마사루 시바우라 공업대학 교수 등 방재 전문가들을 초청해 재난 방재 국제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일본 방재 전문가들은 1998년부터 상습 침수 위험 지역으로 지정된 강남역 일대를 직접 방문해 상습 침수 문제의 근본적 해결 방법으로 대심도 지하 저류 터널을 손꼽았다.
모리타 교수는 “도쿄도는 1988년부터 폭우가 쏟아지면 지하 터널로 유도해 자동 저장하는 대심도 시설 조성 사업을 추진했다”면서 “이전엔 시간당 47㎜ 강우에도 3000여채가 침수되곤 했지만 설치 이후 시간당 57㎜ 폭우에 46가구만 침수됐다. 대심도 터널이야말로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주장했다.
빗물 배수는 ‘도로 상의 빗물받이→지선과 간선 하수관거→유수지→펌핑 순서’ 등으로 처리되고 있다. 많은 비가 쏟아지면 지형상 저지대는 상류 지역에서 하수도 용량을 초과하는 빗물이 집중되기 때문에 일정 시간 침수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반면 ‘빗물을 나르는 고속도로’로 불리는 대심도 시설은 도시 침수 등을 방지하기 위해 지하 40∼50m에 대규모 관을 묻어 홍수 때 일시적으로 빗물을 저장한 뒤 홍수가 지나면 배출하는 형태다. 이 때문에 서초구는 대심도 터널이 고질적 침수를 막는 근본적인 대책이라는 입장이다. 진익철 구청장은 21일 “서초구 쪽 강남역 일대는 강남구 논현동 등에 비해 해발고도가 17m 이상 낮아 집중호우 때 바로 옆 강남구 빗물과 서초구 인근 빗물이 집중 유입돼 단시간에 침수된다. 특히 강남역 일대가 한강 및 반포천의 계획 통수 수위보다 낮아 반복적으로 침수가 발생한다”면서 “대심도 터널을 설치하는 사업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대규모 공사비 등을 감안하면 대심도 터널 추진은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1300억원이나 들 것으로 예상된다. 문승국 서울시 행정1부시장은 대심도 터널 추진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는 “비용 문제에다 강남역은 신분당선과도 이어져 있기 때문에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다”면서 “임시 저류조나 관로의 확장, 유역 흐름 변경 등 여러 가지 방법을 강구해 보고 최종 선택해야 할 사업”이라고 말했다.
김정은 기자 kimje@seoul.co.kr
2013-05-22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