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책토론 75% 반영·1일시장… 5456명의 목소리 들었다
수정 2013-06-17 00:18
입력 2013-06-17 00:00
2012 서울소통백서 발간
지난해 2월 15일 서울 청계광장에 마련된 시민발언대에 한 젊은 여성이 올랐다. 그는 손으로 말했다. “종로구에서 청각 장애인 문화관광해설사를 양성했지만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자세하고 쉬운 안내가 필요합니다.” 다산콜센터 수화상담원의 음성통역으로 공유된 이은영(33)씨의 가슴 속 이야기는 박원순 서울시장과의 주말 데이트 안건으로도 채택됐다. 이후 서울시와 종로구는 관련 프로그램 홍보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시는 직접 시청각 장애인 해설사를 육성하는 한편, 장애인의 문화 관광 향유를 위한 특별 코스를 확대하기도 했다.
시민 의견을 듣고(聽) 정책에 반영한다(策)는 의미를 담은 청책토론회를 통해 시는 일자리·노숙인·경제·관광·택시 등 시정 현안을 주제로 모두 41회 5456명의 목소리를 들었다. 평균 9일에 한 번씩 134명과 소통의 자리를 가진 셈이다. 청책토론회에서 제기된 시민 의견 717건 가운데 75%인 538건이 실제 정책에 반영되기도 했다.
주제와 형식을 가리지 않는 시민발언대는 현재 시민청으로 자리를 옮겨 상시로 열리고 있다. 지난 1월까지 모두 46회 열렸고 398명이 사연과 민원을 쏟아냈다. 시장이 미처 보지 못하고 듣지 못하는 부분을 시민의 눈으로 보고 전달하는 명예부시장으로 어르신, 장애인, 전통상인, 여성, 외국인 등 각계각층에서 모두 5명이 활동했다. 또 1일 시민시장 8명이 시장과 하루 일정을 함께 하며 시정을 이해하는 기회를 갖기도 했다. 시는 특히 시장 계정을 포함한 44개 SNS 계정을 운영하는 한편, 시민 의견과 처리 결과를 한눈에 살펴보고 댓글로 참여할 수 있는 소셜미디어센터까지 개설해 본격적인 SNS 행정을 펼쳐 왔다.
김선순 시민소통기획관은 ”시민 한 분, 한 분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그 의견을 정책의 주춧돌로 삼은 기록을 담았다”며 “백서를 통해 시민 누구나 소통의 주인이 될 수 있고 시민 말씀대로 이뤄지고 응답하는 시정을 만나볼 수 있다”고 말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3-06-1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