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천 주부 필수품 ‘직거래장터 3.0’에는…‘먹튀’는 없고 나눔은 있다
수정 2013-07-09 00:08
입력 2013-07-09 00:00
중고거래·아이 돌봄 등 재능기부
이달 초 서울 금천구 주부들이 모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채팅방에 다급해 보이는 글이 올랐다. “기초수급자인 다문화 가정의 엄마인데 급성신우염으로 입원을 하게 됐어요. 초등학생과 다섯살 형제가 있는데 돌봄이 필요해요.”
게시된 지 30분도 지나지 않아 보육을 해 주겠다는 답글, 밑반찬을 지원하겠다는 답글, 응원과 격려의 답글 등이 채팅방을 가득 채웠다. 고민이 손쉽게 해결됐음은 물론이다.
스마트폰을 활용해 벼룩시장을 운영하고 있는 마을공동체 ‘금천직거래장터 3.0’에서 일어난 일이다. 장터 3.0은 생활비 절약은 물론 이렇듯 끈끈한 공동체 문화 활성화에도 앞장서 눈길을 끈다.
장터 3.0은 지난 5월 독산2동 부녀회와 독산초등학교 학부모 10여명이 뭉쳐 만들었다. 현재 관악구, 경기 광명 지역까지 참여하며 회원이 150명을 넘어섰다. 두 달 만에 커다란 공동체로 발전한 것이다.
평소 하는 일은 어려운 것이 아니다. 스마트폰 SNS에 개설한 벼룩시장을 통해 물건을 재활용하거나 직거래하고 재능을 공유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나눈다.
예를 들어 팔고 싶은 물건이 있을 때 사진을 찍어 원하는 금액과 정보를 올리면 이를 보고 필요한 사람이 구매하는 방식이다. 소비자가 판매자이고 판매자가 소비자이기 때문에 서로 만족할 만한 값에 거래가 이뤄진다.
판매액의 최대 20%를 이웃 돕기 기부금으로 적립하는 점이 신선하다.
대개 집에서 사용하지 않는 중고 제품이나 텃밭에서 가꾼 유기농 채소, 고향 특산품이 많고 어린이 영어책이나 동화책 및 장난감, 작아져 못 입게 된 옷 등도 자주 눈에 띈다.
배송도 공동체 방식이다. 몇 단계만 거치면 모두 알 수 있기 때문에 근처면 직접 배달하거나 만나서 건네준다. 거리가 제법 멀면 건너 건너 전달한다. 마음에 드는 물건을 확보했을 때의 기쁨이나 아깝게 놓친 물건에 대한 아쉬움 등이 댓글로 올라오면서 공동체는 더욱 끈끈해지고 있다.
김연옥 장터 3.0 대표는 “구에서 펼치는 오프라인 벼룩시장에도 꾸준히 참여할 계획”이라며 “온·오프라인 벼룩시장에서 얻은 수익금 중 일부는 지역에 기부하고 나머지는 체험 교실을 운영하는 데 쓰고 싶다”고 말했다.
차성수 구청장은 “지혜로운 주부들이 모여 마을에 꼭 필요한 사업을 운영해 모두가 혜택을 누리고 있다”며 “주부들의 스마트한 기획에 대해 아낌없이 지원하는 한편 많이 배우겠다”고 전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3-07-09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