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 있던 물탱크, 예술샘이 콸콸콸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07-24 00:00
입력 2013-07-24 00:00

10년간 방치됐던 금천구 시흥가압장, 마을예술창작소 ‘어울샘’으로 재탄생

지금이야 지대가 높으냐, 낮으냐를 떠나 수도꼭지만 돌리면 24시간 물이 콸콸 쏟아지지만 예전에는 달랐다. 고지대의 경우 하루에 일정 시간만 수돗물을 쓸 수 있었다. 집마다 수도 시설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공동 수도를 사용해야 하는 지역도 있었다. 수돗물이 잘 나오다가도 갑자기 찔끔찔끔 흘러 당황하게 되는 상황도 잦았다. 가압장은 이런 고지대에 물을 끌어 올려주기 위한 시설이다. 펌프 등으로 수압을 높여 수돗물이 잘 나오도록 도왔다. 그러나 아파트 단지 등이 들어서며, 또 수도 시설이 좋아지는 바람에 역할을 잃고 방치돼 동네 흉물로 전락하는 가압장이 나오기 시작했다.

이미지 확대
10년 넘게 방치됐던 서울 금천구 시흥5동 시흥가압장이 기지개를 켜고 있다. 마을예술창작소 ‘어울샘’으로서다. 과거 고지대인 시흥2동에 물을 공급했던 곳이 이제 문화를 공급하는 새 역할을 맡은 것이다. 어울샘이라는 이름도 가압장의 기능에서 떠올린 아이디어. 거기에 동네 주민들이 우물가에 모여 수다를 떨고 정을 나누듯이 어우러지는 곳이라는 의미를 보탰다. 지난달 말 리모델링 공사가 마무리됐다. 외관을 아담하게 꾸민 것은 물론, 텅 비어 있던 지하 공간에는 공연 시설을 완비한 다목적실이 들어섰다. 1층은 조리 시설을 갖춘 카페로 꾸며졌다. 넓은 옥상 공간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문화예술 동아리 등 소모임들은 저렴한 가격에 대관도 가능하다. 프로그램에 따라서는 지원도 받을 수 있다.

어울샘은 다음 달 23일 정식으로 문을 연다. 이에 앞서 몇 가지 프로그램들을 미리 선보이며 시동을 걸고 있다. 올해 목표는 일단 최대한 많은 마을 사람들과 함께 밥을 먹는 것이다. 그래서 밥상공동체를 주제로 프로그램 8개를 마련했다. 지난 12일 청소년들이 부모님을 위해 직접 음식을 만들고 초대해 저녁식사를 하는 ‘소셜 다이닝’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이튿날에는 그림, 동화, 영상, 음악이 어우러진 복합 콘텐츠를 이용해 아이들의 감성을 자극하는 ‘맛있는 빛그림’ 프로그램을 펼쳤다. 지난 19~20일 가족이 함께 어우러지는 ‘신나는 어린이 쿠킹 캠프’도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어울샘 측은 “마을 역사의 한 자락을 담고 있는 옛 가압장이 생활예술창작공간으로 다시 태어났다”며 “마을과 주민에게 밀접한 공간이자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공간으로 마을의 얼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3-07-2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