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 있던 물탱크, 예술샘이 콸콸콸
수정 2013-07-24 00:00
입력 2013-07-24 00:00
10년간 방치됐던 금천구 시흥가압장, 마을예술창작소 ‘어울샘’으로 재탄생
지금이야 지대가 높으냐, 낮으냐를 떠나 수도꼭지만 돌리면 24시간 물이 콸콸 쏟아지지만 예전에는 달랐다. 고지대의 경우 하루에 일정 시간만 수돗물을 쓸 수 있었다. 집마다 수도 시설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공동 수도를 사용해야 하는 지역도 있었다. 수돗물이 잘 나오다가도 갑자기 찔끔찔끔 흘러 당황하게 되는 상황도 잦았다. 가압장은 이런 고지대에 물을 끌어 올려주기 위한 시설이다. 펌프 등으로 수압을 높여 수돗물이 잘 나오도록 도왔다. 그러나 아파트 단지 등이 들어서며, 또 수도 시설이 좋아지는 바람에 역할을 잃고 방치돼 동네 흉물로 전락하는 가압장이 나오기 시작했다.
어울샘은 다음 달 23일 정식으로 문을 연다. 이에 앞서 몇 가지 프로그램들을 미리 선보이며 시동을 걸고 있다. 올해 목표는 일단 최대한 많은 마을 사람들과 함께 밥을 먹는 것이다. 그래서 밥상공동체를 주제로 프로그램 8개를 마련했다. 지난 12일 청소년들이 부모님을 위해 직접 음식을 만들고 초대해 저녁식사를 하는 ‘소셜 다이닝’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이튿날에는 그림, 동화, 영상, 음악이 어우러진 복합 콘텐츠를 이용해 아이들의 감성을 자극하는 ‘맛있는 빛그림’ 프로그램을 펼쳤다. 지난 19~20일 가족이 함께 어우러지는 ‘신나는 어린이 쿠킹 캠프’도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어울샘 측은 “마을 역사의 한 자락을 담고 있는 옛 가압장이 생활예술창작공간으로 다시 태어났다”며 “마을과 주민에게 밀접한 공간이자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공간으로 마을의 얼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3-07-2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