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인사동 개발제한 35년만에 풀렸다
수정 2013-08-23 00:34
입력 2013-08-23 00:00
승동교회 일대 3만 3072㎡ 소규모 분할·맞춤형으로 정비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는 인사동 161 승동교회 일대 3만 3072㎡를 69개 구역으로 나눠 맞춤형으로 정비하는 계획을 가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소단위 맞춤형 정비는 서울 도심 재개발 사업이 시작된 지 40년 만에 처음이다.
인사동 일대는 1978년 재개발 구역으로 묶인 뒤 개별 건축 행위를 할 수가 없었다. 원래 6개 구역으로 나누어 전면 철거 뒤 한꺼번에 재개발하려던 계획이 취소되고 옛길 등 역사적 도시 형태를 유지하며 낡은 건축물들을 점진적으로 개선해 나가게 됐다. 문화지구라는 특성을 감안해 골동품점·표구점·필방·화랑은 권장하고 화장품점·커피 전문점·노래방 등은 허가되지 않는다.
건폐율이 60%에서 최대 80%까지, 1~2층으로 제한됐던 건물 높이는 3~4층까지 완화된다. 리모델링 활성화 구역으로 지정됐기 때문에 기존 건물을 철거하지 않고 연면적의 30%까지 증축할 수 있다. 기존에 계획된 도로는 최대한 줄이고 골목길을 유지한다. 차량이 아닌 보행자 중심 도로로 정비하기 위해서다. 다만 화재 위험에 대비해 기존 2m 너비의 골목길을 4m까지 확장해 소방도로를 확보한다. 새로 건물을 지을 때 건축선을 뒤로 물러나게 한다는 이야기다. 건축선 후퇴 신축 건물은 층수 완화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시는 개별 단위 소규모 개발의 경우 도로 등 기반 시설 확보가 어려운 만큼 기반 시설의 우선순위를 정해 지구별 정비 사업 때 먼저 확보하도록 하고 필요하면 공공 예산을 투자했다가 나중에 회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개별 지구 사업 시행은 인허가 절차가 까다로운 도시환경정비 절차가 아닌 건축허가 절차로 추진돼 사업 기간이 6개월에서 1개월 이내로 대폭 단축될 전망이다.
시는 도시환경정비 대상이지만 20년 넘게 개발이 추진되지 않고 있는 20개 구역 57개 지구에 대해서도 소단위 정비로 전환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이제원 도시계획국장은 “한양도성으로 둘러싸인 서울의 환경을 최대한 보호하면서 낙후성도 개선하는 등 도심 정비 계획의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3-08-2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