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용산개발사업지구 수일 내 해제”(종합)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10-02 00:00
입력 2013-10-02 00:00

“주민께 고통만 안겨 죄송”…충돌 우려로 주민간담회 3곳서 진행

서울시가 사업이 좌초된 용산국제업무지구를 조속히 해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1일부터 용산구 현장시장실을 운영 중인 박원순 시장은 이날 오후 6시부터 밤늦게까지 ‘용산국제업무지구 주민간담회’를 열고 “사업지구 해제가 수일 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그는 “코레일이 토지대금도 이미 낸 데다 새 사장이 왔어도 새 사업을 구상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이른 시일 내 지구를 해제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용산사업이 주민께 고통만 안긴 채 끝나가고 있고 그 과정에서 서울시가 충분히 역할을 못해 죄송하다”면서 “여러분 의견을 검토해 시의 새 역할을 찾겠다”고 덧붙였다.

충돌이 우려돼 찬성·반대·상인그룹으로 나눠 각기 다른 장소에서 간담회를 열었지만 고성이 이어졌다.

일부는 “해주는 것도 없이 왜 왔냐, 서울시가 사기를 쳤다”고 욕설을 하며 자리를 떴고, 책상을 치면서 울부짖는 사람도 있었다.

사업을 반대하는 주민 간담회에서는 한목소리로 사업구역 해제 방침에 찬성했다.

이복순 서부이촌동 지번총연합회 위원장은 “코레일이 토지대금을 납부했는데도 시는 소유권 이전 등기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구역 해제를 미룬다”고 지적했고, 최윤정씨는 “주부로서 법정에 서서 눈물로 50대를 보냈고 하우스푸어가 됐으니 이젠 내보내달라”고 호소했다.

그러나 여전히 사업은 정상화돼야 하며 지구 해제를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는 주민도 적지 않았다.

주영근 11개 구역 대책위원회 부위원장은 “주민 56%가 찬성해 시작됐고 국책사업이자 시가 주관한다기에 신뢰했는데 분통이 터진다”며 “시행사, 코레일, 서울시가 합심해 사업을 정상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상인들은 사업 무산에 따른 피해 보상을 요구했다. 신명희씨는 “상가는 100여 개가 줄었고 입주권은 날아가 신용불량에 전기도 끊겨 촛불을 켜고 산다”며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시가 코레일서 받은 세수 4천억 원은 재배분하라”고 촉구했다.

용산개발사업은 정부의 철도경영 정상화 대책으로 2006년 확정된 후 서울시가 서부이촌동 일대를 포함하면서 30조원 규모 사업으로 확대됐지만 금융위기와 부동산 경기 침체, 시행사 부도 등으로 인해 사실상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