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리모델링 ‘모델’된 창동신창시장
수정 2013-10-15 00:00
입력 2013-10-15 00:00
서울형 신시장 사업에 선정… 도심형 장날·야시장 등 계획
젊은 세대를 아우르는 문화·참여형 도심 장터를 꿈꾸는 서울 도봉구 창동신창시장이 서울형 신시장 모델로 뜬다.
단위 사업별로 무분별하게 추진되던 기존 활성화 사업을 전면 보완한 것으로, 각자 상황에 맞는 특별한 전통시장을 육성하기 위해 실시하는 사업이다. 신창시장은 최근 서울시청 별관에서 열린 경진 대회에서 관악구 신림동 신원시장, 강동구 길동골목시장과 함께 사업 대상으로 뽑혔다.
구는 시장상인회, 경복대학교와 함께 머리를 맞대고 아이디어를 가다듬었다. 5일장이 아닌 일주일을 주기로 한 도심형 장날을 도입하자는 게 큰 줄기다. 여기에 낮 시장 폐장 뒤 밤 시간을 특화하고 프리마켓까지 곁들이는 고객 참여형 야시장 개념을 보탰다. 젊은 고객층 유입을 위해서다. 인근 문화 인프라와 연계한 시즌별 예술 축제도 도입하고, 마을버스와 손잡고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판매대를 정돈해 통로도 확장할 계획이다. 이 같은 아이디어를 현실화하기 위해 내년부터 3년에 걸쳐 모두 50억원이 투입된다. 다음 달 협약식을 맺은 뒤 사업 진행 전반에 대해 조언할 전담매니저가 배치된다.
신창시장은 1978년 형성됐다. 현재 좌판을 포함해 100여개 가게가 옹기종기 모여 있다. 상인회가 없어서 2005년에야 뒤늦게 전통시장으로 등록됐다. 이듬해 눈비를 막을 수 있는 아케이드를 설치하고 간판을 정비하는 등 시설 현대화 작업이 이뤄졌다. 소방시설도 확충됐다. 2011년에는 고객 편의를 위해 공동 배송센터를 설치했다. 지난해에는 경영 마인드를 갖추자는 차원에서 상인대학을 운영하는 등 전통시장 발전을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어졌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3-10-15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