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건축심의위원 일일이 설득했죠, 균형개발 제대로 하자고”
수정 2013-10-31 00:00
입력 2013-10-31 00:00
‘지역발전’ 발로 뛰는 문병권 중랑구청장
“2002년 첫 구청장 선거운동 때 구민들에게 들은 얘기가 잊히지 않습니다. 제 손을 꼭 잡고 ‘이웃 경기 구리만도 못하다’ ‘자존심이 상한다’고 호소했죠. 이 상처를 치유하는 게 내 임무라고 봤어요.”
이런저런 지역개발사업을 모색하던 문 구청장은 박차를 가했고 2006년부터 엠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2008년 착공했다. “개발사업이라면 공무원들은 뒷걸음질부터 칩니다. 가뜩이나 특혜니 뭐니 하는데 적극적으로 나서기까지 하면 오해를 사서 얻는 격이니까요. 저도 걱정해주는 분들로부터 ‘오해받을 수 있다’ ‘이상한 소문이 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러나 주민들 자존심을 보듬어야죠.”
고도제한 문제 때문에 서울시 건축심의위원회 위원을 일일이 설득한 일화는 짜하다. “보통 팀장이나 과장 정도가 나가는데 전 절박했으니까 직접 갔죠. 문 밖에 기다렸다가 꼭 드리고 싶은 말씀이 있다며 들어가 지역균형개발을 꺼냈죠. 건물 하나의 문제가 아니다, 중랑 상황이 이런데 도저히 보고 있을 수 없다고 했습니다. 나중에 들으니 구청장이 발로 뛰는데 도와주자는 얘기가 나왔답디다.”
3선, 그래서 12년간 구청장직을 수행할 수 있었던 것도 행운이다. “이런저런 얘기 듣지 않으려면 조금씩 찢어서 개발하면 됩니다. 그런데 중심상권 개발은 좀 규모가 있어야 지역 얼굴이 싹 바뀌어요. 임기 4년에 그쳤다면 어찌 됐을지 모르죠.” 흥행에도 자신있다. 구리, 남양주 등에 대규모 택지개발이 이뤄지고 있어서다. 지하철 상봉역, 중앙선·경춘선과 만나는 망우역을 곁에 두었고 상봉터미널까지 자리해 서울 동북권과 경기 일부 지역의 문화생활 중심 상권이 될 수 있다고 봤다.
“뒤쪽 망우역이 복합역사로 같이 개발되면 더 좋을 텐데…”라며 아쉬움도 드러냈다. 그러나 “지역 개발의 발판을 놨다는 점에서 만족감은 최고”라며 웃었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10-3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