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천국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11-21 00:22
입력 2013-11-21 00:00

성북구, 국내 첫 아동친화도시 유니세프 인증… 조례·예산 호평

20일은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 등 존엄성을 지닌 주체로서 어린이의 기본권을 명시한 유엔아동권리협약이 채택된 지 24년 되는 날이자 세계어린이날이다. 유엔 산하 어린이 구호 기구인 유니세프는 지구촌 곳곳에 어린이 인권을 뿌리 내리게 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1996년부터 아동권리협약의 정신을 꾸준하고 충실하게 실천하는 도시를 아동친화도시로 선정하고 있다.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등 유럽을 중심으로 현재 30개국 1300여개 도시가 인증받았다. 아시아에선 일본 가와사키현이 대표적이다.

이미지 확대
김영배(왼쪽부터) 성북구청장과 오종남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사무총장, 유니세프 아동권리특별대표로 임명된 배우 공유가 20일 아동친화도시 인증식에서 아동 권리 보호에 앞장설 것을 다짐하고 있다. 성북구 제공
김영배(왼쪽부터) 성북구청장과 오종남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사무총장, 유니세프 아동권리특별대표로 임명된 배우 공유가 20일 아동친화도시 인증식에서 아동 권리 보호에 앞장설 것을 다짐하고 있다.
성북구 제공
국내에서 처음으로 아동친화도시가 나왔다. 바로 성북구다. 유니세프 한국위원회로부터 공인받았다. 오종남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은 이날 인증식에서 “성북구에 거는 기대가 크다. 어린이가 권리를 충분히 누리며 살아가는 도시를 만드는 데 기울인 노력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아동친화도시로 인증받으려면 아동 참여, 아동 친화적인 법 체계와 전략, 전담 기구, 영향 평가, 관련 예산 확보, 정기 실태 보고, 권리 홍보, 독립적 대변인(기구), 안전 조치 등을 꼼꼼하게 평가받아야 한다. 민선 5기 들어 아동친화도시를 전략 과제로 삼은 성북구는 2011년 10월 추진 계획을 발표한 뒤 아동 권리를 반영한 조례를 만들었다. 또 전담 부서인 어린이친화팀을 꾸리고 어린이·청소년의회 및 구정 참여단을 구성하는 한편 방과 후 돌봄을 위한 아동청소년센터 설립, 친환경 무상급식 및 학교 과일 급식 실시, 어린이 도서관 확충, 통학로 안전지대 확충, 서울 지역 아동총회 개최 등 여러 사업을 벌여 왔다. 아동 관련 예산을 투명하게 집행한 점도 호응을 얻었다.

구는 청사 내 아트홀에서 유니세프 한국위 관계자와 주민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어린이친화도시 선포식도 열었다. 김영배 구청장은 “어린이와 청소년이 살기 좋은 지역을 만들기 위해 벌인 사업들이 국제적으로도 인정을 받았다”며 “더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모자란 부분을 채우는 데 애쓰겠다”고 말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3-11-2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