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학생들과 장애체험 나선 김영종 종로구청장이 던진 화두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11-22 00:22
입력 2013-11-22 00:00

귀로 소외 이웃의 아픔 듣고 눈으로 장애 친구의 불편 챙기는 역지사지의 삶을 부탁해!

“창덕궁은 많이 와 봐서 익숙한 곳이지만 눈을 가리고 걸으니 두려움이 앞서네요. 일반인들도 장애인 입장에서 생각해 보고 이해할 수 있는 체험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이미지 확대
21일 종로구 창덕궁에서 열린 ‘귀로 보고 눈으로 듣는 궁궐이야기’ 행사에서 김영종(왼쪽에서 세 번째) 종로구청장이 고3 학생들과 함께 장애 체험을 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21일 종로구 창덕궁에서 열린 ‘귀로 보고 눈으로 듣는 궁궐이야기’ 행사에서 김영종(왼쪽에서 세 번째) 종로구청장이 고3 학생들과 함께 장애 체험을 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21일 종로구 창덕궁에서 열린 장애 체험 프로그램 ‘귀로 보고 눈으로 듣는 궁궐이야기’에 참여한 김영종 종로구청장은 ‘역지사지’(易地思之)를 강조했다. 김 구청장은 “직접 겪어 보지 않으면 눈으로 보고 들을 수 있는 것이 얼마나 큰 혜택인지 모른다”면서 “고3 수험생들도 시청각장애인 문화관광해설사와 함께 장애인의 불편을 몸소 느낄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체험 프로그램에는 대동세무고등학교 고3 수험생 40명이 동참했다. 10명은 시각장애 체험을 위해 안대와 지팡이를 사용했다. 10명은 청각장애 체험을 위해 귀마개를 착용하고 수화통역사와 함께 이동했다. 나머지 20명은 장애 체험을 하는 친구들의 활동보조인 역할을 했다.

시청각장애인 문화관광해설사 4명과 4개 그룹으로 나뉘어 창덕궁에 들어섰다. 시각장애 체험 그룹은 이동이 쉽지 않았다. “앞에 턱이 있으니 조심해라”, “계단을 내려가야 한다”, “오른쪽으로 가라” 등 친구가 활동보조인으로 옆에 꼭 붙어 설명해 줬지만 눈을 가린 학생의 발걸음은 조심스럽기만 했다. 청각장애 체험 그룹의 경우 이동하기는 쉬웠지만 친구들과 서로 말하지 않으며 청각장애인 해설사의 수화를 통해 해설을 들어야 했다. 이들은 2시간 정도 창덕궁 전각과 후원을 관람했다.

시각장애 체험을 한 김남경 학생은 “안대를 하고 있는 동안 무서웠는데 안대를 벗으니 세상이 환해졌다”며 “지하철이나 길에서 시각장애인의 흰색 지팡이를 보면 무조건 도와야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청각장애 체험 그룹의 황주미 학생은 “옆에 있는 친구와 대화할 수 없다는 것이 이렇게 답답할 줄 몰랐다”고 답했다.

구는 2011년 3월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청각장애인 문화관광해설사 양성 교육을 실시했다. 교육과정을 수료하고 최종 평가를 통과한 16명이 해설사로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장애인을 위한 장애인 해설사’로 활약 중이다. 임은주 해설사는 “대부분 후천적으로 장애인이 되기 때문에 일반인도 잠재적 장애인인 셈”이라며 “평소에는 장애인을 위한 해설을 하는데 이번에 일반인들과 함께하며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구는 일반인 신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이번 장애 체험 프로그램을 모두 4회 개최한다. 3, 4회는 23일 경복궁에서 열린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3-11-2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