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소외 없다” 강동의 따뜻한 배려
수정 2014-01-03 00:00
입력 2014-01-03 00:00
장애여성 친화병원 네트워크 확대… 민관 연계한 지원사업도 활성화
구는 이달 중 장애친화병원 매뉴얼을 배포하고 사업 참여 병원을 늘린다고 2일 밝혔다. 장애여성들이 거주지에서 가까운 병원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병원들을 장애 친화적으로 개선하려는 취지다. 이와 관련, 구는 지난해 8월 전국에서 처음으로 추진한 ‘장애여성 건강행복 프로젝트’ 사업을 돌아보고 새해 사업 방향을 세우는 ‘장애여성 건강지원 네트워크 사업 평가회’를 지난 연말 개최했다.
장애여성 건강행복 프로젝트는 장애여성을 대상으로 건강지원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보건소, 강동경희대병원, ㈔장애여성공감, 함께가는강동장애인부모회, 녹색소비자연대 SRC보듬터(옛 삼육재활센터) 등과 함께 민관 협력으로 장애여성 건강증진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장애친화병원 확대에 역점을 뒀다. 현재 강동경희대병원, 고운빛산부인과, 주몽재활의원, 해온한의원 등이 참여 의지를 밝혔다. 구 관계자는 “장애여성 건강지원 네트워크 사업 평가회에서 장애친화병원 선포식을 했다”며 “더 많은 병원이 장애친화병원에 관심을 갖고 장애인 건강 향상에 애쓰도록 이끄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건강 문제에서 소외되는 계층이 없도록 하겠다는 정책 의지를 반영한 새로운 시도의 사업”이라고 덧붙였다.
구는 지난해 장애여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펼쳤다. 장애여성 건강 네트워크 구축 토론회를 비롯해 장애인이 가장 많은 천호2동에서는 장애여성 건강조사 및 상담 사업, 장애자녀 부모들을 위한 힐링 프로그램 등을 운영했다. 또 장애여성들이 직접 보건소를 방문해 시설을 점검하고 건강검진과 상담 서비스를 받은 뒤 느낀 불편함을 개선했다. 전 직원의 장애 유형별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두 차례에 걸쳐 장애 감수성 향상 교육을 실시했다.
장애친화병원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양형인 강동경희대병원 교수는 “새해엔 더 많은 병원이 장애친화병원 네트워크에 참여함으로써 실질적인 장애인 건강지원이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4-01-03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