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 배우러 노르웨이에서 노원으로 찾아온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01-07 00:00
입력 2014-01-07 00:00
노르웨이와 서울대병원 심폐소생술 전문가들이 7일 노원구 심폐소생술 상설교육장을 방문한다. 성공적 교육 모델을 벤치마킹하고 정보를 교류하려는 것이다. 지난해 12월 일본 홋카이도대학 응급의학 교수들에 이어 두 번째 방문이다.

노르웨이 심폐소생술 교육법 개발 전문가인 미클레부스트 헬게·톤예 브리케네스 박사, 서울대 신상도·이의중·박상아 교수, 한국생활안전연합 윤선화 대표는 시설과 교육 과정을 참관하고 선진 교육 모델을 배워 갈 예정이다.

구에 따르면 2012년 5월 교육장을 개장한 이래 그해 1만 7400여명, 지난해 1만 8340여명 등 모두 3만 5740여명이 거쳐 갔다. 평일 하루 세 차례 이상 프로그램이 진행됐고, 토요일과 수요일엔 야간교육까지 진행했다. 덕분에 2012년 구민이 자동제세동기를 쓰거나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건수는 전국 평균의 2배인 26차례다. 여세를 몰아 구는 심폐소생술 시행으로 인한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일본 수준인 10%로 높일 계획이다. 국내 평균은 3%다. 심정지 이후 2분 내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생존율이 90%대에 이른다.

김성환 구청장은 “우리나라의 경우 심정지 64%가 가정에서 발생한다는데, 최초 목격자 중심의 교육을 통해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의미”라면서 “해외에도 소개될 정도로 소중한 활동인 만큼 상설교육을 더 활성화하겠다”고 말했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2014-01-07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