分區 19년 만에 ‘성동소방서’ 2017년 출동한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02-06 02:15
입력 2014-02-06 00:00

금천구와 함께 구 소방서 없어 광진구서 출동 초기 대응 늦어

드디어 성동소방서가 생긴다.

성동구는 5일 올해 설계공모 뒤 내년 착공, 2017년 6월 완공한다고 밝혔다. 부지는 서울시와 다양하게 논의한 끝에 행당도시개발지구(행당동 87-4)로 결정됐다. 주민 30만명이나 되는데 소방서가 없다면 이상할 수도 있는데 시내 25개 자치구 가운데 이런 곳은 성동과 금천 2곳이었다. 1995년 성동·광진구로 분구된 뒤에도 광진소방서가 성동지역을 계속 맡았다. 이러다 보니 성동, 광진 두 지역 모두 문제가 생겼다. 성동은 공장 밀집지대여서 화재에 늘 신경써야 하는 성수동 지역과 고지대여서 화재 취약지역으로 분류되는 금호동 등에서 대응이 늦을 수 있다는 위험을 떠안았다. 화재는 재빠른 출동으로 초기에 진압하는 게 핵심인데 광진소방서에서 출동하다 보니 ‘5분 내 출동’의 원칙이 지켜지기 어려웠다.

광진소방서 역시 성동 지역까지 담당하느라 큰 부담을 안고 있었다. 다른 소방서에 비해 연평균 화재 출동이 62%, 구조·구급 출동이 33%나 많았다. 여기다 왕십리뉴타운 아파트에 5000가구가 들어설 예정이었고 성수동 첨단사업단지 개발 등 지역 개발 사업이 진행됐다. 이대로 가다간 업무 부담이 더 늘어날 게 불을 보듯 뻔하다.

이 때문에 성동은 소방서 유치에 온 몸을 던졌다. 김희전 시의원은 시의회 도시안전위원회에서 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 중기재정계획안에 소방서 신설을 반영했다. 올해 예산으로는 37억원이 확보됐다.

김 의원은 “행정당국은 물론 주민들 사이에서도 조그만 불이 큰 화재로 번질 위험성이 제기됐었다”며 “앞으로도 건립에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고재득 구청장은 “재난의 경우 터진 뒤 이겨내는 것보다 평상시 미리 준비하고 예방하는 유비무환의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또 “그런 만큼 3년 뒤 들어설 성동소방서가 유비무환의 구심점으로 구민의 재산과 생명을 지키는 든든한 파수꾼 역할을 해 줄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4-02-06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