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구, 전국 첫 ‘자치회관 코디네이터’ 둔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02-20 01:00
입력 2014-02-20 00:00

지역민 맞는 프로그램 등 개발

서울 마포구는 19일 주민자치회관이 실질적으로 주민자치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치회관 코디네이터’를 양성한다고 밝혔다. 주민자치에 대한 이런저런 주장들은 많지만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자치회관 운영의 내실화를 위해 전국 최초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원래 자치회관 운영은 담당 공무원과 주민자치위원회가 함께 의논해서 정한다. 그러나 공무원은 인사이동으로 바뀌고 자치위원회는 전문성이 떨어지다 보니 사업들이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때문에 어떤 프로그램이 왜 필요한지, 어떤 개선점이 필요한지, 앞으로 어떤 프로그램을 도입할 것인지 등을 두고 늘 말들이 엇갈렸다.

코디네이터는 이 문제에 집중한다. 지역 특성과 주민 욕구에 맞춘 자치회관 나름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 관리하는 것은 물론, 담당공무원이 바뀌어도 마을 관련 프로그램이나 사업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자치회관을 중심으로 지역 내 인적 자원을 개발해 주민자치의 역량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올해는 일단 8개 자치회관에서 시범적으로 실시한다. 주민자치위의 신청을 받아 3월 중 선정한다. 코디네이터는 20세 이상 지역 내 거주자로 컴퓨터를 일정 정도 쓰고 자치회관 프로그램 개발 등에 관심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28일부터 뽑아서 한 달 정도 교육한 뒤 현장에 배치한다.

박홍섭 구청장은 “자치회관 활성화를 위해 처음 시도되는 사업인 만큼 코디네이터제도가 성공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4-02-2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