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의료원 이전 전면 재검토 해야”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03-11 02:32
입력 2014-03-11 00:00

중구·종로구청장 공동 기자회견

서울 중구와 종로구는 10일 을지로6가 국립중앙의료원의 서초구 원지동 이전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강력 촉구했다.

이미지 확대
10일 서울 중구 을지로6가 국립중앙의료원 앞에서 열린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반대’ 기자회견에서 최창식(앞줄 오른쪽에서 세 번째) 중구청장과 김영종(네 번째) 종로구청장, 시민단체 회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10일 서울 중구 을지로6가 국립중앙의료원 앞에서 열린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반대’ 기자회견에서 최창식(앞줄 오른쪽에서 세 번째) 중구청장과 김영종(네 번째) 종로구청장, 시민단체 회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최창식 중구청장과 김영종 종로구청장은 의료원 앞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아무런 대책 없이 이전하면 서울의 심장부에 살고 있는 주민들의 생명줄을 빼앗는 것이나 다름없다”면서 “지역 주민의 의견을 외면하고 추진되는 국립중앙의료원 이전에 대해 전면 재검토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7일 5개 구의회가 의료원 이전을 반대하는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서울시와 보건복지부가 도심지역 의료 공백에 대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는 가운데 이전 사업에 본격 착수하자 이번엔 해당 단체장들이 나선 것이다.

시와 복지부는 지난 1월부터 의료 공백에 따른 대책을 논의 중이라고 거듭 밝혔지만 예산 문제 등으로 대책 내용이나 발표 시점 등 대략적인 계획도 잡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의료원 이용률이 높은 중구와 종로·성동·동대문·성북구 등 의료 공백에 따른 주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가보훈 대상자인 고성수(84·을지로4가)씨는 “당뇨질환으로 20년 넘도록 한 달에 2~3회 국립중앙의료원을 이용한다”며 “이전하면 병원 갈 일이 막막하다”고 말했다.

1958년 개원한 국립중앙의료원은 하루 350만명 유동인구가 활동하는 서울의 중심부에 자리 잡아 노인과 서민층이 저비용 고품질 의료서비스 혜택을 받고 있는 도심 유일의 공공의료기관이다. 지난해만 중구, 종로·성동·성북·동대문구 등 5개 자치구 주민 이용률이 전체 시민 외래환자 28만 8037명의 56%에 이를 정도로 많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2주에 한 번 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 관계자 등과 실무회의를 하고 있지만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고 말했다. 복지부 관계자 역시 “예산도 수반돼야 하고 서울시가 해 줘야 할 부분도 있다”며 “방향을 잡기 위한 회의를 하고 있다고만 말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일부 공공의료 기능을 유지하거나 대체 기관을 유치하더라도 이전 취지인 시설개선 등에 적잖은 비용을 떠맡아야 한다. 따라서 이를 꺼릴 것이기 때문에 이견을 좁히기 어려운 상황으로 풀이된다.



이날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철회 추진협의회’는 5개 구 주민 4만 5723명이 서명한 의료원 이전 철회 탄원서를 두 구청장에게 전달했다. 두 구청장은 추후 주민대표단과 함께 복지부와 시를 방문해 탄원서를 전달하고 대책안을 요구할 예정이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4-03-1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