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병 어린이 위한 세 종교의 ‘사랑’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10-01 00:00
입력 2014-10-01 00:00

강북구 화계사·송암교회·수유1동 성당 15년간 합동 바자회 열어 262명 지원

“세 종교가 어울려 15년째 여는 바자회, 원동력은 사랑입니다.”

30일 강북구 수유동 화계사에서 만난 주지 수암 스님은 “2000년부터 불교, 기독교, 천주교가 해마다 모여 바자회를 열고 난치병 어린이를 도우면서 사랑으로 하나가 될 수 있었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가장 보수적이라는 종교단체도 벽을 허무는데 우리 사회 정치·경제의 갈등도 소통을 통해 봉합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수암 스님
수암 스님
강북구는 오는 4일 오전 10시~오후 5시 한신대 신학대학원 운동장에서 ‘난치병 어린이 돕기 종교연합 사랑의 바자회’를 연다. 화계사, 송암교회, 수유1동 성당이 함께한다. 지금껏 262명의 난치병 어린이에게 8억 82만 3000원을 지원했다. 올해도 11월 20명에게 300만원씩 내놓는다. 미리 기증 받은 의류와 식료품 등을 팔고 먹거리장터를 꾸린다. 초청가수의 공연도 진행된다.

올해 행사 준비를 맡은 수암 스님은 “14년이나 이어진 자리라 준비할 게 크게 줄었다”면서 “두 달쯤 세 종교인이 일주일에 한 차례씩 모여 마음을 나누는 게 가장 큰 준비”라고 말했다. 종교 간 갈등이 있지 않느냐고 묻자 “일반인들도 담장 허물기를 통해 이웃끼리 소통하지만 안방까지 열어주지는 않는다”면서 “세 종교가 소통하는 이웃이 돼 갈수록 오히려 내 종교의 정체성은 커지더라”고 덧붙였다. 그는 “바자회에서 찬송가를 부르거나 불경을 욀 수 없고 십자가나 만(卍)자를 내걸지 못하며 지원 대상도 구에서 정한다. 종교 간 경쟁이 아니라 화합을 위한 규칙인 셈”이라며 웃었다. 난치병 어린이를 한정해 돕는 이유에 대해서는 “가난한 사람은 기초수급 대상이지만 난치병 어린이는 정부의 복지 대상에 들어가지 않는다”면서 “장학사업과 달리 돕는 이들이 많지 않아 꿈과 희망을 잃은 아이와 지친 부모를 생각하면 행사 목적을 바꿀 수 없는 것 같다”고 귀띔했다.

지난 15년간 주지 스님은 두 번, 교회 목사는 두 번, 성당 신부는 네 번 바뀌었다. 그는 “강북구의 세 종교 바자회 이후 길상사·덕수교회·성북동성당, 정토회·경동교회·문정동성당 등도 비슷한 행사를 열고 있다”면서 “이제 멈추려야 멈출 수 없는 상황이 된 것 아닌가 싶다”고 또 웃었다. 박겸수 강북구청장은 “세 종교가 힘을 합치는 모습이 혼돈과 갈등의 시대에 소통의 모범이 됐으면 한다”면서 “시민들도 많이 참여해 어린이들에게 힘을 보태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4-10-01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