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의 미래모습, 책 보면 보입니다
홍혜정 기자
수정 2015-02-11 03:17
입력 2015-02-10 23:52
區 ‘비전 2018창조도시’ 발간
“중구는 역사 문화적 자산이 많은데 구 전체를 스토리텔링화하면 어떨까요.”(정재형 동국대 영화영상학과 교수, 미래포럼 교육문화분과 위원)“헤어·네일아트·애완견 숍 등을 직업교육센터로 인증해 주고 기술을 배우게 하면 좋겠어요.”(홍후조 고려대 교육학과 교수, 미래포럼 교육문화분과 위원)

구는 지난해 7~10월 4개월간 지역 교수 및 전문분야 위원 68명의 의견 157건을 모았다. 위원들은 건설, 교육, 환경, 문화, 복지 등 5개 분과별 미래포럼위원회를 열어 지역문제, 아이디어 제시, 외국사례 벤치마킹 등 다양한 정보를 공유했다. 특히 공개토론 과정을 거쳐 주민들의 목소리와 현장실무 직원들의 의견을 반영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10대 과제 주요 내용은 미래형 창조도시, 세계적인 관광도시, 활기찬 전통시장, 맞춤복지 실현, 건강중구, 미래형 인재 교육, 희망보육서비스, 24시간 안전특구, 걷고 싶은 도시, 소통하는 중구 등이다. 세부사업으로 낙후도심 융복합 개발, 을지로 도심산업 특화거리, 3D 입체도시, 역사문화·의료·공연예술 관광 네트워크, 우리동네 주치의제도, 24시간 아이돌봄 서비스, 보행축 연결, 1인 1기 생활체육 등 톡톡 튀는 정책 아이디어 44개가 선정됐다.
구는 2018년까지 44개 정책 아이디어를 우선순위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 책자를 주민들에게 전달하고 연차별 구정 업무 추진을 위한 기본계획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최창식 구청장은 “부서 직원들의 자료를 모아 장기 비전을 세우면 주민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단점이 있어 미래포럼을 꾸린 뒤 정책자문단 역할을 하도록 했다”면서 “이번에 선정된 정책들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5-02-1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