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 거울길로 밤에도 안심하고 걸어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수정 2015-03-16 18:25
입력 2015-03-16 18:16

현관문 반사필름·골목 보안등 설치

이미지 확대
“현관 문에 거울만 붙였는데 너무 안심이 돼요.”

지난해 10월 서울 동작구가 다세대주택 밀집 지역인 성대로 14로에 만든 거울길에 대해 주민 이모(27·여)씨는 “밤에 귀가하면 무서웠는데 현관문이 거울같이 뒤를 비춰 주고, 거울길이라고 이름도 지어 주니 안심이 많이 된다”면서 “다른 곳에도 조성했으면 좋겠다”고 16일 밝혔다.

거울길은 다세대주택 30동의 현관문에 거울처럼 상(像)이 비치는 세로 30㎝의 반사필름 ‘미러시트’(mirror sheet)를 성인 여성의 눈높이에 부착시킨 곳이다.

구는 이 성공 사례를 시작으로 올해 안전마을 2곳과 여성안심 거울길 2곳을 조성하는 한편 2018년까지 15곳의 안전마을을 만든다.

사실 구의 범죄 발생률은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18위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발생한 5대 강력범죄는 연평균 4100여건이다.

구는 지난해 말 서울지역 최초로 ‘범죄예방디자인 조례’를 공포했다. 지난 1월에는 ‘소규모 건축물 범죄예방설계 세부기준’과 ‘주택사업지 범죄예방환경설계 적용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이에 따라 구에서 신축되는 소규모 건축물은 무인택배함 등을 설치하고, 150가구 이상 신축 공동주택은 실내가 보이는 글라스도어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해야 한다.

올해 구가 조성하는 안전마을 중 한 곳은 만양로 12가길(노량진1동) 일대다. 고시원, 독서실, 원룸이 밀집돼 있고 여성 1인 가구의 거주율은 34%(구 평균 20%)에 달한다. 구는 좁은 골목길을 중심으로 보안등과 SOS 벨을 설치하고, 반사경 및 미러시트 등을 부착할 계획이다.

여성안심 거울길도 2곳을 선정해 조성한다. 건축물 현관에는 미러 시트를 부착하고, 가스배관 등에는 특수형광물질을 도포한다. 또 벽면에는 벽화 등도 그린다.



이창우 구청장은 “우리 구는 전형적인 주거지역이지만 상업시설이나 유흥업소가 밀집된 지역보다 범죄율이 높은 편”이라면서 “지역의 특성과 범죄유형을 충분히 분석한 다음 도시 곳곳에 범죄예방설계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5-03-1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