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 ~ 양재IC 6.4㎞ 지하화 해법 찾기 나선다

이재연 기자
수정 2016-07-19 02:16
입력 2016-07-18 23:28
서초구 내일 비전·전략 세미나
이번 세미나는 한국도시설계학회가 주최하고 서초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대한교통학회,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도시정책학회가 후원한다. 구는 지난 4월 ‘서울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간구조개편 타당성조사 연구’ 용역을 발주했는데, 세미나는 이 용역의 일환이고 최종 결과는 올해 말 나올 예정이다. 최막중 서울대 교수가 ‘경부간선도로 지하화 미래비전’ 주제발표에서 현황 진단 및 사업 추진 방안 등 현 도로 지하화의 득실을 제시할 예정이다.
서초구가 이번 세미나를 적극 지원하는 것은 1970년 서울~부산 전 구간 개통 이후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경부고속도로가 46년이 지난 올해 기준 교통량이 100배 가까이 늘어나 도로 기능을 잃은 것은 물론 소음·분진, 동서 단절 등 ‘민원 덩어리’로 전락했다는 이유에서다. 구는 장기 종합발전계획 ‘나비플랜’에서 경부간선도로 입체화, 고속버스터미널 이전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앞서 해결책으로 도로 복층화, 덮개 씌우기 등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서초구 관계자는 “복층화는 지역 단절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덮개 방식은 도로의 용량 확장이 불가능하다”고 반박했다. 도로를 지하화해 복층의 자동차 전용도로를 만들면 통행량 확보와 지역 단절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고 지상 공간은 문화시설로 조성할 수 있다는 게 서초구의 설명이다. 조은희 구청장은 지난 4월 미국 보스턴의 지하도로 빅딕, 이달 초 스페인 마드리드의 M30를 시찰하는 등 해외 사례 벤치마킹에도 적극적이다.
문제는 구 자체 추산 최대 5조원에 이르는 막대한 사업비와 미적지근한 태도인 서울시의 사업 참여 여부다. 현재 서울시는 이 사업에 유보적인 입장이다. 이에 대해 조 구청장은 “한남~양재 구간 지하화는 강남 개발에 국한된 게 아니라 국가적인 대계”라며 “앞으로 3회에 걸친 세미나에서 충분한 대안 마련을 통해 현실성 있는 실행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6-07-1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