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마포구 사회복지지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최훈진 기자
수정 2017-07-19 03:27
입력 2017-07-18 17:50

국공립어린이집 평균 이상…대학진학률 62.6%로 높고 기초수급비율 1.9%로 낮아

서울 마포구의 대학 진학률이 서울 전체 평균보다 6.2% 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 내 국공립어린이집의 비중은 서울 전체 평균보다 크며, 미혼 인구의 비율은 서울에 비해 약 2.6% 높았다.

마포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이런 내용이 담긴 ‘2017년 마포구 사회복지지표’ 책자를 펴냈다고 18일 밝혔다.

구는 지역 상황에 맞는 복지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연세대 사회복지대학원과 손잡고 2014년부터 해마다 빈곤, 아동·청소년 등 8개 영역의 222개 지표를 조사해 왔다.

올해 발간된 책자의 주요 내용을 살펴 보면 마포구 내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비율은 1.9%로 전국(3.2%)이나 서울(2.6%)에 비해 낮다. 상대적으로 ‘빈곤’ 수준이 낮다는 것인데, 책자에는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볼 때 마포구 지역 재개발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는 해석이 담겼다.

연령별 인구 분포의 특징으로는 25~49세 연령층이 시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노인 인구가 집중 거주하는 지역은 공덕동과 성산2동이다. 지역의 1인 가구 비중은 서울 25개 자치구 중에서도 상위권에 속하며, 20~30대 여성 비중이 높아 치안 강화, 임신·육아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아동·청소년 관련 지표를 보면 2015년 기준 대학 진학률은 62.6%로, 서울 평균 56.4%에 비해 높은 진학률을 보이고 있다.

책자는 향후 사업 우선순위 선정, 타당성 평가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복지 방향에 대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것으로 구는 기대하고 있다.

박홍섭 마포구청장은 “지역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복지정책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7-07-1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