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코디·찾동 등 ‘지속가능한 정책’ 진화

강국진 기자
수정 2018-10-11 18:12
입력 2018-10-11 17:54
7년의 복지전달체계 살펴보니
서대문구 제공
2014년부터는 찾아가는 방문복지 서비스 제공으로 사각지대 해소에 나섰다. 복지업무 공무원들이 정기적으로 현장을 방문하도록 해 취약계층 발굴과 예방적 복지를 실현하자는 취지였다. 2015년에는 전국 처음으로 복지방문지도를 구축하는 등 정보기술(IT)을 활용한 복지전달체계 효율성을 도모했다. 행복1004콜센터와 맞춤 복지검색 사이트도 개설했다.
2016년엔 찾아가는 주민센터 사업을 전면화했다. 하루도 빠짐없이, 민관이 함께, 보건·복지·마을이 연계한다는 뜻에서 ‘서대문 1·2·3 행복사업’을 시행했고 방문복지를 더 체계화시켰다. 2017년엔 서대문형 민관 상생협력 체계를 개발했다.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에 민관 협력으로 13개 기관이 컨소시엄 협약을 맺어 복지 대상자에게 필요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했다.
문석진 구청장은 “보건·복지·마을, 민관 연대를 통해 복지 생태계를 구축해 지속 가능한 마을복지공동체를 실현하는 게 최종 목표”라고 밝혔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8-10-1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