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눌수록 더해진다… 금천 주차장 ‘공유 혁신’

이민영 기자
수정 2020-06-08 03:41
입력 2020-06-07 17:30
거주자 우선·민간주차장 개방 정책
금천구 제공
금천구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보다는 저층 단독, 다가구주택이 밀집된 곳이 많아 주차난이 심각하다. 빌딩이 밀집한 가산동 지역에 비해 독산동, 시흥동은 특히 주차장이 부족하다. 금천구는 기존 주차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주차장을 새로 짓는 데는 1면당 1억 2000만원이 필요하고, 공영주차장 하나를 짓는 데는 수십억~수백억원 등 막대한 비용이 든다.
특히 금천구는 다른 구에 비해 면적이 적어 땅을 사는 것도 쉽지 않다. 유성훈 구청장은 “구청장에 취임하고 보니 가장 민원이 많은 분야가 주차였다”며 “적어도 동네 주민끼리 골목길에서 서로 얼굴 붉히며 싸우는 일은 만들지 않아야겠다고 판단해 주차장 문제를 역점사업으로 추진했다”고 말했다. 이어 “기존 주차장을 공유하면 이용자는 편하게 주차할 수 있고 민간도 수익을 낼 수 있어 상생할 수 있다”며 “가장 신속하게 주차난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주차장 공유”라고 강조했다.
금천구는 출퇴근으로 비어 있는 주차장을 공유해 주차난을 해소하기 위한 ‘거주자 우선 주차장 ARS 시스템’을 지난해 시범적으로 선보인 뒤 올해 전체 주차장으로 확대했다. 관내 거주자 우선, 노상 주차장 등 2256면 전부를 ARS로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빌려 쓸 수 있다. 지난해 321면을 대상으로 시범 사업을 한 결과 실적이 3270건에 달했다.
지난해 카멜리아빌딩, 현대지식산업센터, 위너스골프장, LH임대주택 부설주차장과 새로 협약을 맺어 야간에 개방하고 있다. 현재 관내에서 야간에 개방하는 민간주차장은 홈플러스 시흥점 100면, 카멜리아 30면, 현대지식산업센터 165면, 위너스골프장 20면 등 총 22곳, 768면에 달한다.
주차장 개발과 함께 공영주차장 신설도 속도를 내고 있다. 시흥5동과 독산2동에 각각 13면과 7면의 소형 공영주차장을 공사 중이다. 시흥5동 공영주차장은 올해 6월, 독산2동은 9월 완공 예정이다. 독산2동 마을공원 지하에도 105면 규모의 공영주차장을 건설한다. 기존 공원 지하에 129억원을 들여 지하 2층 규모로 주차장을 조성하고, 지상은 시설과 조경을 개선해 공원으로 단장한다. 내년에 착공해 2022년 준공할 계획이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20-06-0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