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아도 무한변신… 중구청장 ‘공간 트랜스포머의 꿈’

김민석 기자
수정 2021-08-25 02:31
입력 2021-08-24 17:22
한정된 지역, 수요·공급 맞춰 효율화
공공시설은 공유·편의시설은 확충

중구 제공
“내년부터는 코로나19가 유행성 독감처럼 관리될 수 있을 겁니다. 그러니 올 하반기 시범운영을 통해 노하우를 새로 만든 시설의 운영 노하우를 쌓아 내년에 대비하자는 겁니다.”(서양호 중구청장)
지난 19일 서울 중구 신당5동 주민센터 3층 강당에선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주민센터 지하1층 다목적실과 3층 강당을 공유공간으로 만든 신당5동에서 구청장이 주민들로부터 공간 활용에 대한 의견을 듣는 자리였다. 구는 한 공간이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는 복합 공유공간으로 만드는 ‘공간 운영 효율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중구는 서울에서 가장 좁다. 지역 내 수많은 법인과 사업자에 비해 주민은 적고, 이들을 위한 공공시설과 공간은 턱없이 부족하다. 서 구청장이 지난 3년 간 확충해 왔지만, 절대적으로 부족한 공간 문제를 해결하기는 쉽지 않다. 여기에 지대까지 높아 더 어렵다. 이에 낸 아이디어가 기존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 할 수 있는 ‘트랜스포머’처럼 만드는 것이다.
이날 서 구청장은 신당5동 보고회에 참석하기 직전 강서구 마곡동에 있는 민간 연구소를 방문해, 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체험했다. 서 구청장의 공간 효율화 방안은 3단계로 계획돼 있다. 우선 시설이 필요한 곳에 있고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도록 최대한 기존 공간을 재배치한다. 구는 이를 위해 1년 이상 연구용역을 실시했다. 없는 시설은 신축을 하되, 그 전에 기존 시설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재생 관점에서 활용할 여지는 없는지를 철저히 확인한다.
구는 공공기관, 복지시설, 도서관, 공원 등 사회기반시설을 주민 공유공간으로 개방해, 시설 효율성을 높이고, 생활 편의나 문화시설 등 다양한 주민 요구를 충족시킨다는 계획이다. 공공시설 46곳 120개 공간(2021년 6월말 기준)을 단계적으로 개방해 나갈 예정이다. 조기축구회가 쓰는 손기정 체육공원 잔디구장을 가족 공원처럼 개방하거나, 중구교육지원센터를 오전 시간에 경력단절 여성 교육·훈련 공간으로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민간 위탁으로 비싼 값에 운영되고 있는 주차장이나 수영장을 구청이 위탁받아 저렴하게 개방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서 구청장은 “중구에 주차 공간이 11만 면 있는데 그 중 1만 면이 주차 이외 용도로 쓰이고 있는데, 이것만 잘 활용해도 2조원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21-08-2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