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 주거’ 용산, 방치된 빈집 5년간 정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수정 2021-11-04 03:21
입력 2021-11-03 20:22

134곳 철거·리모델링에 23억원 투입
나대지는 주차장·쉼터·텃밭 조성 활용

이미지 확대
성장현 서울 용산구청장
성장현 서울 용산구청장
서울 용산구가 내년부터 5년간 빈집 정비에 나선다. 주거 지역에 방치된 집에서 안전사고나 범죄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다.

3일 구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서울시가 2019년 한국부동산원에 의뢰해 실시한 빈집 실태조사를 통해 찾아낸 용산구 내 빈집 351곳 중 134곳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내년부터 2026년까지 사업비 총 23억원을 투입한다. 나머지 빈집 217곳은 기존 정비구역 내에 있거나 서울주택도시공사(SH) 매입, 비주택, 자진 정비 등의 이유로 대상에서 제외됐다.

구는 빈집 상태에 따라 물리적 상태가 양호한 1·2등급을 받은 빈집은 리모델링을 통해 임대주택·작은 도서관과 같은 소규모 생활 기반 시설로 바꿀 예정이다.

3·4등급을 받은 빈집은 안전조치 및 관리 계획을 세우거나 철거 후 주변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마을 주차장, 쉼터, 텃밭 등으로 활용한다. 소유자의 동의를 얻어 안전 표지판 등을 부착하고 필요한 경우 안전 가림막을 설치해 주민들의 피해를 막는다.

직권 철거 대상 빈집은 38곳으로 구는 소유자가 자진 철거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빈집 철거 명령에 응하지 않으면 이행 강제금이 부과된다. 철거 후 나대지는 공공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구 관계자는 “빈집을 철거한 후 나대지로 방치될 경우 쓰레기가 쌓이고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며 “용산동2가에 있는 빈집 2곳은 이미 소유자와 협의해 철거 후 마을 주차장으로 활용될 예정”이라고 했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용산구에는 일제 강점기 적산가옥을 비롯해 지은 지 오래된 집이 많다”며 “소유주와 지역이 상생할 수 있도록 빈집 활용 방안을 창의적으로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21-11-0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