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 동네 병원, 마음의 병도 고쳐 드려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수정 2021-11-16 02:51
입력 2021-11-15 17:58

의사, 우울·자살 위험군 찾으면 기관 인계
정신 건강 돌보는 ‘생명이음 청진기 사업’

이미지 확대
서울 강서구 ‘생명이음 청진기’ 사업에 참여 중인 1차 의료기관에서 의사가 환자에게 우울증 건강 설문을 진행하는 모습. 강서구 제공
서울 강서구 ‘생명이음 청진기’ 사업에 참여 중인 1차 의료기관에서 의사가 환자에게 우울증 건강 설문을 진행하는 모습.
강서구 제공
서울 강서구는 동네 병원 진찰 중 자살 고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해 관계기관에 연계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구는 1차 의료기관과 협력을 통해 우울 및 자살 고위험군을 발견해 개입하는 ‘생명이음 청진기’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15일 밝혔다.

1차 의료기관에서 진료 의사가 위험군으로 판단한 환자에게 우울증 건강 설문(PHQ-9), 자살행동 척도 검사(SBQ-R)를 진행한다. 검사 결과 자살 위험성이 높고 상담을 받겠다는 대상에게는 강서구보건소의 자살예방 전담 요원이 심층 상담을 한다.

이를 통해 자살 위험 정도를 구분해 지속 관리가 필요한 경우엔 전문 의료기관, 강서구 정신건강복지센터, 강서구보건소 생명 지킴 활동가 돌봄 서비스 등 다양한 지역사회 복지 자원과 연계를 지원한다.

구는 보건복지부 ‘심리부검 결과보고서’에서 착안해 이런 정책을 펴내게 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자살 사망자 대다수가 극단적 선택을 하기 전 복통 등 신체 불편이나 수면 문제를 경험했으며, 이를 치료하기 위해 내과나 가정의학과, 한의원 등 1차 의료기관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생명이음 청진기 사업엔 지역 내 1차 의료기관 5곳이 참여하고 있다. 구는 적극적 지원과 홍보로 참여 기관을 확대할 계획이다. 구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이 길어지면서 우울감을 호소하는 이들이 더 늘고 있다”며 “지역사회와 적극 협력해 자살을 예방하는 한편 지역 내 생명존중 문화가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21-11-1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