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구, 쓰레기 나오는 즉시 치운다… 청소 체계 개선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수정 2023-01-25 15:37
입력 2023-01-25 15:37

생활쓰레기·대형폐기물 등 수거 기간 단축
뒷골목·청소취약지역엔 인력 집중 배치키로
‘쓰레기감시반’ 등 폐기물 수거 구민 점검 강화

이미지 확대
서울 노원구 환경공무관이 노원역 인근에서 청소를 하고 있다. 노원구 제공
서울 노원구 환경공무관이 노원역 인근에서 청소를 하고 있다. 노원구 제공


서울 노원구가 쓰레기 없는 쾌적하고 주거 환경을 조성하고자 청소 시스템을 개편했다고 25일 밝혔다.

우선 구는 생활 쓰레기 수거 권역을 재조정하기로 했다. 그간 생활 쓰레기 수거 주기는 주 3~6회로 연간 7만 9000여t의 쓰레기를 신속하게 치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에 구는 수거 권역을 세분화하고 수집 운반 대행업체를 기존 4곳에 2곳을 추가했다.

또한 대형폐기물의 수거 기간도 기존 7일 이내에서 3일 이내로 단축한다. 대형폐기물 수거가 지연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무단 투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다.

또한 청소 인력을 뒷골목과 청소 취약 지역에 집중적으로 투입하기로 했다. 뒷골목의 청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어르신으로 구성된 410명의 ‘클린지킴이단’을 신규 배치한다. 기존의 뒷골목 청소를 담당했던 자활근로인력 81명은 주로 청소 민원을 해결하는 기동대에서 즉각적인 주민 불편 사항을 해결한다.

구는 지역의 대표 거리인 노원역 문화의 거리에서 많이 나오는 전단을 치우고 야간 무단 투기를 막기 위해 환경공무관을 배치했다. 이달부터 매일 야간 특별 근무조를 편성해 2인 1조로 오후 10~12시까지 작업한다.

청소에 대한 구민 모니터링도 강화하고자 ‘쓰레기감시반’과 ‘청결모니터링단’을 운영한다. 쓰레기감시반은 6개 권역별 수집 운반 대행업체의 종량제 봉투 등 수거 상태를 주로 점검한다. 올해 새로 운영하는 청결모니터링단은 대형 폐기물의 수거 여부를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은 “청결한 도시는 바로 주민이 안전한 도시와도 직결된다”며 “쾌적하고 안전한 거리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희선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