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시작한 위기가구 신고포상금제의 첫 수혜자는 신당5동에서 염색방을 운영하고 있는 김성숙(53)씨다. 김 씨는 단골손님인 A씨가 올해 초 부쩍 야윈 것을 보고 지난 2월 동주민센터를 방문해 A씨를 도와줄 방법이 없는지 문의했고, 동주민센터도 적극 나섰다. 결국 A씨는 지난달 기초생활수급자로 선정돼 매월 생계비와 주거비를 받게 됐다.
이미지 확대
서울 중구 위기가구 신고포상금제의 첫 수혜자인 김성숙(왼쪽)씨가 중구 관계자와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중구 제공
중구 관계자는 “지난 한 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1014가구를 발굴해 1291건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했다”며 “특히 형편이 나아져 수급자에서 벗어나도 다시 경제적인 위기에 부딪히는 일이 많다는 점에 주목해 수급이 종료된 주민 235명을 조사해 103명에게 복지지원을 재개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또 중구 약사회, 한국전력공사, 한전엠씨에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서울북부지부 중구지회와 협약을 맺고 위기 의심 가구 8건을 제보받아 이 중 2가구에 도움을 줬다. 중구청 홈페이지의 ‘복지 도움 요청’ 게시판, 카카오톡 채널, 복지 핫라인을 통해서도 164건의 신고를 받아 이 중 긴급 지원이 필요한 44가구를 지원했다.
지역 주민이나 기타 기관들의 제보로 찾은 122가구를 조사했고, 그 중 93가구를 발굴하여 필요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했다.
중구 관계자는 “앞으로도 중구는 의료기관 등 주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관들과 협약해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유미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