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서대문구 트위터 반상회 ‘호응’
수정 2012-03-29 00:32
입력 2012-03-29 00:00
3분에 1건씩 묻고 대답은 실시간으로 지역주민과 通하다
“식탁 유리가 깨져 일반 쓰레기봉투에 넣어 버리려고 하니 비닐이 찢어져요. 어떻게 버려야 하나요?”(@yeong****) “봉투 판매소에서 마대자루를 구입하신 후 유리를 신문지로 잘 싸서 배출하시면 됩니다.”(남규화 서대문구 생활자원과장) “대단한 세상입니다. 금방 물어봤는데 구청 과장이 직접 답하는 것을 보니 서대문구의 앞날이 밝다고 생각됩니다. 안심하고 살겠습니다.”(@sdm****)
주민들은 아파트 취득·등록세와 무허가 건물 상속 방법, 금연프로그램 이용 방안, 돌출간판 도로사용기준, 놀토 프로그램 이용 방안 등 질문을 쉴새없이 쏟아냈다.
답변에는 문석진 구청장도 열외일 수 없다. ‘홍은2동 홍남단지는 여름철 상습 침수지역이다. 이에 대한 대책이 마련돼 있나.’라는 질문에 문 구청장은 “상습 침수 피해 방지를 위한 하수시설 개량공사를 진행 중이다.”라고 즉각 답했다. 명맥만 간신히 유지하고 있던 형식적인 ‘반상회’가 이처럼 트위터에서 화려하게 부활했다.
문 구청장은 2010년 취임 이후 “마을공동체의 회복을 위해 반드시 반상회를 부활시켜야 한다.”고 줄곧 외쳤다. 간부들과의 마라톤 회의에서 주민 불편도 줄이고 짧은 시간에 많은 사람이 의견을 공유하는 방안으로 ‘트위터’가 거론됐다. 지난 21일에는 시범 운영도 마쳤다. 실제로 이번에 트위터 반상회를 진행한 결과 반응이 뜨거웠다. 이날 오후 6시부터 단 1시간 동안 진행된 반상회에서 3분당 1건의 건의사항과 의견이 나왔다. 일부 주민은 “오후 7시까지만 운영한다니 정말 아쉽다. 다음 달에는 질문 내용을 더 많이 준비하겠다.”며 반겼다.
구 간부와 직원들도 어색하다는 반응보다는 주민과의 직접적인 소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는다. 이태묵 자치행정과장은 “집합 반상회는 형식적 개최라는 게 사실이고 주민들의 의견이 구정에 잘 반영되지 않아 불만을 사 왔다.”면서 “이제 주민과 쌍방향 소통의 장을 열게 됐다.”고 말했다. 구는 트위터 반상회를 2시간으로 늘려 매월 1회 정례화하기로 했다. 트위터에서 ‘#서대문구청반상회’를 검색해 들어가 참여할 수 있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2012-03-2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