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서초구 새내기 공무원 교육
수정 2013-01-09 00:28
입력 2013-01-09 00:00
현안회의 참여… 공직감각, 떡잎부터 키운다
수많은 젊은이들이 공무원을 꿈꾼다. 하지만 고단한 과정을 거쳐 합격하고도 공직 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그만두는 경우가 적지 않다. 몇 년씩 땀을 흘려 힘겹게 이룬 꿈을 이런 식으로 포기해 버리는 이유는 뭘까.
서초구 제공
8일 구에 따르면 서초구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내기 직원들이 공직자로서 건전한 사명감을 가질 수 있도록 ‘새내기 공무원 특별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별교육 프로그램은 새내기 직원들이 행정의 한 단면이 아닌 전체를 보고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구성한 것이다.
우선 새내기 직원들은 교육 기간 중 ‘현안 회의’에 참석한다. 현안 회의는 진익철 구청장이 도입한 민원 및 정책 난제 해결 과정의 하나로, 구청장부터 관련 국·과·팀장, 주무관이 한자리에 모여 복잡한 결재 과정이나 업무 협의 절차를 생략하고 해결책을 토의하는 난상 토론장이다. 새내기 직원들은 이 자리에서 서초구의 최대 현안을 바로 듣고 자신들의 의견까지 개진한다.
이 자리에 참석한 한 직원은 “말로만 듣던 현안 회의에 직접 참가해 보니 구정에 대해 간략하게나마 모두 알게 된 기분”이라며 “격 없는 토론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또 새내기 직원들은 자신의 직렬과 무관하게 실무교육도 받는다. 실무교육은 공무원 기본 소양은 물론 인사제도, 회계실무, 계약, 민원 응대법 등 공직 생활을 위한 필수 내용으로 이뤄졌다. 강사로는 외부 전문가뿐 아니라 선배 공무원, 진 구청장까지 나선다. 더불어 구는 새내기 직원들을 위한 ‘직원 한마음 공동체 훈련’도 진행한다. 1박 2일 일정으로 팀장 이하 실무진이 참여하는 훈련이다. 구정 비전 공유를 위한 강의, 소통·화합을 위한 훈련 등을 집중적으로 받는다.
진 구청장은 “지방분권 시대를 맞아 지방공무원의 역할이 커지고 있는데도 그에 따른 적절한 프로그램이 없는 게 문제였다”며 “신규 공무원에 대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주요 부서의 기능과 업무 추진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3-01-0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