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유종필 관악구청장 인문학 강연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08-22 00:18
입력 2013-08-22 00:00

돈키호테, 세상을 바꿔라!

유종필 관악구청장의 집무실에는 스페인 중남부 고원지대인 라만차에 있는 돈키호테 동상을 담은 커다란 사진이 걸려 있다. 그가 직접 찍은 이 사진 속에서 돈키호테는 저멀리 하늘에 떠 가는 구름을 바라보고 있다. ‘뜬구름 잡을 궁리하는 돈키호테’라고 제목을 붙였다. 처음엔 ‘틀’이 있는 평범한 액자에 담아 놓았는데 갇혀 있는 느낌이 난다며 틀이 없는 액자로 바꿔 달았다. 이 돈키호테는 유 구청장 집 거실에서도 뜬구름 잡을 궁리를 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유종필 관악구청장이 지난 20일 저녁 인문학 아카데미 특강을 통해 엉뚱함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관악구 제공
유종필 관악구청장이 지난 20일 저녁 인문학 아카데미 특강을 통해 엉뚱함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관악구 제공
지난 20일 저녁 그는 인문학 아카데미 특강을 이 사진으로 시작했다. 주민과 구청 직원 500여명이 대상이다. 유 구청장은 “우리나라에선 행동만 앞서는 사람이라고 부정적으로 여기기 일쑤이지만 나는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꿈을 좇아 도전하는 모습을 좋아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세상 사람들은 셰익스피어를 세계 최고 문호로 여기지만, 스페인 사람들은 현실에 안주하는 경향을 보인 셰익스피어와 달리 돈키호테를 통해 꿈과 도전을 이야기한 세르반테스를 한 수 위로 여긴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돈키호테 사진을 하루에 몇 번씩 볼 때마다 꿈과 도전을 떠올린다며 너털웃음을 터뜨렸다.

그가 특강에서 던진 핵심 화두는 엉뚱함이다. 흔히 엉뚱하면 손해를 본다고 생각하지만 그러한 세상은 지나갔다는 게 지론이다. 발명왕 토머스 에디슨도, 정보기술(IT) 혁명을 이끈 빌 게이츠와 스티브 잡스도 엉뚱했기 때문에 세상을 바꿀 수 있었다고 유 구청장은 말했다. 특히 진정한 행복을 위해서는 자기만의 색깔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조 가수와 모창 가수의 대결을 보여 주며 인기를 끌었던 방송 프로그램을 예로 들었다. 노래를 잘 부른다고 해서 누구나 스타가 되지는 않으며, 개성이 있어야 대중을 열광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특강 말미에 청중으로부터 관악을 어떻게 색다르게 변화시켰느냐는 질문을 받기도 했다. 유 구청장은 “너도나도 하는 물질 복지에서 벗어나 지식복지 개념을 처음 도입했다”며 “도서관 확충 등 다양한 정책을 펼쳐 관악을 지식복지 도시로 만들었다”고 답했다.

책 저자들이 나서는 이번 특강은 상반기 서울대와 함께하며 큰 반향을 일으킨 ‘서양 고전, 인간을 말하다’의 후속 프로젝트로 마련됐다. 스테디셀러 ‘세계 도서관 기행’의 저자이자 최근 인생 지침서 ‘좀 다르게 살아도 괜찮아’를 펴낸 유 구청장이 여섯 번째 순서. 특강엔 이날까지 모두 3000여명이 찾아왔다. 다른 지역까지 소문이 났다. 광진구에서 왔다는 한 주부는 “세상을 살다 보면 어려움을 겪는 시기가 있는데 그럴 때 도움 되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3-08-2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