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양재 혁신클러스터,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6-01-06 00:15
입력 2016-01-05 23:10

조은희 서초구청장의 새해 계획

“‘양재 연구·개발(R&D) 혁신 클러스터’를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만들겠습니다.”(조은희 서초구청장)

이미지 확대
5일 조은희(오른쪽 두 번째) 서초구청장이 서울 서초구 우면동의 삼성전자 서울 R&D캠퍼스를 찾아 삼성전자 관계자들과 대강당을 둘러보고 있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5일 조은희(오른쪽 두 번째) 서초구청장이 서울 서초구 우면동의 삼성전자 서울 R&D캠퍼스를 찾아 삼성전자 관계자들과 대강당을 둘러보고 있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5일 오전 조은희 서초구청장이 새해 첫 업무로 우면동의 ‘삼성전자 서울 R&D캠퍼스’를 찾았다. 운영상 어려움을 듣고 구의 지원과 요청 사항을 주고받기 위해서다.

삼성전자 R&D캠퍼스는 지난해 11월 30일 문을 열었다. 33만㎡(10만평) 규모의 6개 동에 석·박사 등 전문 연구인력 4000여명이 일하고 있다. 디자인과 소프트웨어 연구·개발이 주된 업무다.

조 구청장은 이날 구 간부 8명과 함께 김창용 연구소장 등 삼성 임원들과 간담회를 했다. 김 소장은 “사원들을 위한 약국이 없고 편의점과 카페가 부족하다”고 이야기했고 이에 조 구청장은 긍정적인 검토를 약속했다.

구정 협력에 대한 당부도 잊지 않았다. 조 구청장은 “다운증후군을 앓고 있는 장애인들이 카페 바리스타로 일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부탁했다. 또 캠퍼스 내에 있는 결혼식장을 다문화가정 부부들의 결혼식 공간으로 빌려줄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삼성 측도 실무자와 협의해 보겠다며 화답했다. 간담회 이후에는 대강당과 헬스장, 직원식당 등 주요시설도 돌아봤다.

양재·우면 지역에는 현재 KT와 LG전자, 현대기아자동차 본사 등 대기업과 280여개 중소기업의 R&D 연구소가 모여 있다. 자연적으로 대규모 연구·개발 단지가 형성되면서 서울시도 주목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신년사에서도 양재·우면지역의 기존 R&D 시설을 확장할 것이라고 했다. 또 서울시도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난해 이 일대를 특화된 ‘전략육성지’로 키우고 있다.

서초구 역시 이 지역을 창조경제를 선도하는 연구개발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구는 앞서 기업이 함께하는 ‘양재 R&D 육성을 위한 공동협약서’를 체결하고 혁신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예산도 확보했다. 이 같은 기반을 바탕으로 올해부터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서울시도 지난해 3월부터 ‘양재·우면 R&D 지구 육성 종합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실시하는 등 정부와 서울시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다.



조 구청장은 “기업 간 네트워크 구축과 세제 혜택, 앵커시설 지원 등 필요한 행정적 지원으로 기업 유치에 적극 나서겠다”면서 “세계적 연구·개발 클러스터가 되도록 관계기관과 지속적 협의, 규제 완화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2016-01-06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