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성동 ‘집으로’… 귀갓길 든든한 보디가드
최지숙 기자
수정 2016-01-14 00:38
입력 2016-01-13 18:08
정원오 구청장 여성친화도시 야심작

이 시스템은 ‘여성 친화 도시’ 조성을 위한 정원오 성동구청장의 야심작이다. 사후 처벌이 아닌 범죄 예방과 선제적 대응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정 구청장은 주민 안전을 위해 지난해 8월 경기 안양시의 ‘스마트폰 맞춤형 안전도우미 서비스’를 벤치마킹하기로 했다. 그러나 집으로는 안양시 앱보다 진일보했다. 구 전산정보과 관계자는 “가입 시 사진을 필수 입력하도록 돼 있어 도움을 요청한 사람을 식별하기 쉽고,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가입자의 스마트폰 카메라가 자동 실행돼 현장 상황을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등 훨씬 발전했다”고 설명했다.
범죄자와 대치 중 스마트폰을 떨어뜨려도 각 동선의 사진과 영상을 전송해 위치를 추적한다. 김성규 관제센터장은 “범죄의 예방과 조기 검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경찰차마다 단말기가 보급되도록 해 달라고 요청했다.
구는 오는 26일 ‘여성 친화 도시 선포식’을 하고 주민들을 상대로 시연회를 할 예정이다. 서비스는 3월부터 시작된다. 구는 앱의 존재를 알려 주민들이 널리 사용할 수 있도록 다각도로 홍보할 계획이다. 정 구청장은 “성동구가 여성·아동에 대한 납치, 성범죄 등의 범죄로부터 안전지대가 될 수 있도록 시스템 안착에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면서 “향후 다른 자치구나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벤치마킹해 범죄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글 사회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2016-01-1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