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자투리 텃밭’이 키운 도시농업
수정 2016-01-22 00:27
입력 2016-01-21 18:18
‘도시농부’ 유종필 관악구청장

관악구 제공
관악산과 청룡산 등 크고 작은 산이 많아 녹지 지역이 전체 면적의 59.7%나 되는 구는 도시농업을 하기에 천혜의 조건을 지닌 셈이다. 지난해 청룡산 마을텃밭에서 생산한 꿀은 11만㎖나 되는 어마어마한 양이다. 10개의 벌통으로 3개월간 양봉을 한 결과다. 청룡산에서 생산한 꿀은 농약을 전혀 치지 않은 순수한 아카시아꿀로 보건환경연구원의 안전성 검사도 통과했다. 올해는 20개의 벌통으로 생산한 꿀에 유 구청장이 직접 만든 ‘관악산 꿀벌의 선물’이란 이름을 붙여 지역 주민과 시민 등에게 판매할 계획이다. ‘꿀벌의 선물’은 상표 출원까지 마쳤다. 구 인구의 12%를 차지하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에게 도시농업은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관악구에서 태어난 강감찬 장군과 관련한 풍부한 역사문화 자원을 개발해서 활용하는 사업도 더욱 확대된다. 유 구청장은 “관악구보다 인구가 적은 노르웨이의 오슬로는 화가인 뭉크와 조각가인 비겔란으로 유지된다”면서 도시를 떠받치는 문화의 힘을 강조했다. 올해는 강감찬 장군이 태어난 유적지인 낙성대의 관리사무소를 전시관으로 조성하는 사업을 시작한다. 강감찬 생가터를 정비하고 낙성대공원에서 편안하게 휴식을 할 수 있는 카페도 만든다.
장기적으로는 치유와 재활을 할 수 있는 승마힐링센터를 만들고 고려박물관을 건립할 계획이다. 강감찬 장군의 생가터에 있는 ‘낙성대’란 글씨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직접 쓴 것이다. 또 서원동은 강 장군이 서당을 다니던 길이며 은천동은 장군의 어렸을 때 이름이다. 인헌동은 강 장군의 호를 딴 것으로 관악구에는 강 장군과 관련된 이야깃거리가 풍부하다. 고려의 이야기와 도시 관악을 접목해 올해 구는 ‘강감찬 도시’로 우뚝 설 것으로 전망된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6-01-22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