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기회의 땅’ 동작… 능력만 있다면 36세에 원장님
유대근 기자
수정 2016-09-22 18:30
입력 2016-09-22 18:16
이창우 구청장 “인사가 만사” 육아지원 강화 ‘보육청’ 사업
지난 12일 서울 동작구 사당4동 구립어린이집 원장으로 부임한 안명선(36)씨는 지역 내 국공립어린이집(20인 이상) 원장 39명 중 가장 젊다. 보통 어린이집 원장이 40~50대인 것을 감안하면 파격 발탁이다. 공정한 인사체계 덕이었다. 그는 “동작구 내 어린이집에서만 11년간 열심히 일했더니 인사평가 결과를 토대로 구에서 원장을 맡겼다”고 말했다.

이창우 구청장은 “보육의 질을 한 단계 높이려면 교사 수준부터 높여야 했다”면서 “‘인사가 만사’라는 말이 있듯 인사 체계만 잘 갖춰도 교사의 질이 높아질 것으로 봤다”고 말했다.
동작 보육교사 인사체계의 핵심은 채용 방식의 변화다. 어린이집마다 교사를 개별 채용하던 방식 대신 구립어린이집 20곳이 함께 뽑은 뒤 배치하게 됐다. 또, 갑작스러운 교사 퇴직 등에 대비해 대체교사 인력풀도 구성했다. 구 관계자는 “각 어린이집에 채용을 맡기면 베테랑 교사 대신 인건비 부담이 적은 젊은 교사만 뽑는 경향이 있다”면서 “통합 채용으로 경륜 있는 교사를 뽑아 아이를 돌보게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또 보육교사 직급체계를 개편하고 승진제를 도입했다. 연차에 따라 호봉만 올라가는 방식을 버리고 주임교사, 선임교사, 원장 순으로 직급을 나눠 누구나 성과에 따라 승진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었다. 안 원장처럼 지역 어린이집에서 오래 근무하며 좋은 평가를 받아온 교사라면 나이에 관계없이 원장이 될 수 있는 구조다.
전보제 도입도 큰 변화다. 교사들이 한곳에만 머물지 않고 여러 구립어린이집에 옮겨 다니며 다양한 환경에서 일하도록 한 것이다. 이 구청장은 “보육청 사업이 국공립어린이집의 차세대 모델로 뽑혀 오는 27일 서울시여성가족재단에서 개최하는 보육 토론회에서 소개될 예정”이라면서 “공보육 시설 수도 계속 늘려 2018년이면 어린이집에 다니는 지역 영유아 중 절반이 국공립 어린이집에 다닐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6-09-23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