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나누면 커지는 행복… ‘광진, 공유의 법칙’
한준규 기자
수정 2016-12-01 23:51
입력 2016-12-01 22:54
김기동 구청장의 공유 프로그램

광진구 제공
서울 광진구가 지역 주민들이 유무형의 자산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목받고 있다. 김기동 광진구청장은 “버려지고 죽어 있는 다양한 것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방법이 바로 ‘공유’”라면서 “광진구는 주거공간뿐 아니라 주차장, 교복과 아이 옷, 책, 각종 생활용품 등을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지붕세대공감은 어르신은 남는 방을 공유하고, 대학생은 주변 시세의 60% 수준의 임대료를 내고 말벗이나 외출을 돕기도 한다. 구에서 학생 1명당 100만원 한도의 환경개선공사도 해 준다.
주차장과 자동차도 예외는 아니다. 거주자우선주차구역 배정자가 이용하지 않는 시간대에 비어 있는 곳을 스마트폰 앱으로 필요한 주민과 공유한다. 또 나눔카도 지역 내 구의동 아파트 단지에 8대, 공영주차장 5대 등 모두 51곳 주차장에서 134대를 운영하고 있다. 구 관계자는 “1년에 2만㎞ 이내로 운전하는 단거리 운전자는 차량을 소유하는 것보다 훨씬 경제적”이라며 “이제 소유보다는 공유가 경제적인 세상”이라고 말했다.
이뿐 아니다. 대표적으로 한철 입으면 작아지는 자녀 교복이나 옷 등을 서로 공유하는 시스템도 인기다. 아이 책이나 옷은 서울시 공유기업 ‘키플’(www.kiple.net)에 보내면 다른 물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이 밖에 자주는 아니지만 생활하면서 가끔 필요한 공구나 양복, 장소도 대여해 준다. 갑자기 고장난 가구나 차량 수리를 위해 공구가 필요한 경우는 신분증을 지참하고 동주민센터로 가면 필요한 공구를 3일간 빌릴 수 있다. 현재는 중곡1동, 중곡4동, 자양4동 주민센터에서 가능하고, 내년부터는 모든 동주민센터에서 실시할 예정이다. 화양동의 ‘열린옷장’에서 재킷과 바지, 치마 등 세탁비만 내면 3박 4일 동안 빌려준다. 김 구청장은 “무관심과 이기심으로 공동체가 무너져 가는 현대사회에서 공동체 활성화뿐 아니라 자원 재활용, 환경보호 등 다양한 장점이 있는 것이 바로 ‘공유’”라며 “앞으로도 적극적인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2016-12-02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