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실전 같은 재난훈련… 유비무환 안전 강북

이범수 기자
수정 2017-11-08 02:16
입력 2017-11-07 23:16
강북구 2017 재난 대응 안전 한국훈련
이호정 전문기자 hojeong@seoul.co.kr
박 구청장은 훈련에 참가한 구청, 통일교육원 직원들을 향해 “지하철, 버스 등 언제 위급상황이 발생할지 모른다. 오늘 훈련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북구가 재난예방 1등 구를 향해 발 빠르게 뛰고 있다. 예년에는 장마로 인한 풍수해를 대비하기 위해 침수 훈련을 작은 규모로 했다면 올해는 지진·화재·산불 복합 재난 훈련을 처음으로 진행했다. 통일부를 비롯해 강북소방서,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강북경찰서, 2188부대 220연대, 한국전력, 한국가스안전공사 등 23개 기관에서 350여명이 참여했다. 지난해 참여 인원인 100여명과 비교하면 3.5배 수준이다. 구 관계자는 “유관기관들과 기획회의를 7회에 걸쳐 했고, 도봉구 등 다른 구에서도 많은 지원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지난달부터는 폭우 시 하천변 고립사고를 막기 위해 예방 시설 설치에 나섰다. 지역 내 우이천에서만 지난해 약 10건의 고립사고가 발생했다. 우선 다음달까지 진출입로 29곳 가운데 6곳에 예방시설을 구비로 설치하고 내년에 공사를 끝낼 예정이다. 시간당 강수량이 30㎜를 넘어서면 재난통합사무실에서 출입차단기를 원격조정으로 내린다. 이외에도 지역 내 침수방지판이 마련된 지하주택 3259가구(2016년 기준)의 관리카드를 새롭게 만들었다. 구는 관리카드에 적힌 소유주의 휴대전화 번호로 위기상황을 알리고 주민들이 빨리 대응할 수 있게 한다.
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들은 서울시로부터도 인정받았다. 최근 풍수해 관련 아이디어 공모 수상에서 25개 자치구와 시 유관기관 중 유일하게 최우수상을 받았다. 시는 매년 풍수해 예방기간(5월 15일~10월 15일)이 끝나면 내년 풍수해를 대비해 좋은 정책과 아이디어들을 선별한다.
박 구청장은 “재난은 불시에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훈련과 준비만이 실제 재난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7-11-0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