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구청장실 문턱 ‘0㎝’ 성동 소통행정 비결
김승훈 기자
수정 2018-02-21 19:07
입력 2018-02-21 18:12
‘현장 구청장실’의 실험

성동구 제공
정원오 성동구청장의 ‘소통 행정’이 빛을 발하고 있다. 민관 불신을 없애고 구정 만족도와 신뢰도를 높이며 주민 중심 행복 도시를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정 구청장은 2014년 7월 민선 6기 구청장 취임 이후 지역민을 직접 만나 얘기를 듣는 ‘현장구청장실’로 첫 일정을 시작했다. 현장구청장실을 통해 이날까지 3454명의 주민을 만났고 2548건의 민원을 해결했다. 하루 평균 3.9명의 민원인을 만났고 2.9건의 민원을 해결한 셈이다. ‘구청장과의 대화’를 통해서도 지금까지 1163명의 주민을 만났고 393건의 민원을 해결했다.
구청 홈페이지의 온라인 소통 창구인 ‘구청장에게 바란다’도 지난해 2월 현장 중심으로 개선했다. 이곳에 접수된 민원 중 방문이 필요한 건 관련 공무원이 한 시간 이내에 현장에서 민원인을 직접 만나 해결책을 마련토록 했다. 구 관계자는 “민선 6기 출범 전 ‘구청장에게 바란다’에 접수된 민원은 연간 50여건에 불과했는데 현장 중심 개선 후 연간 700여건으로 늘었다”며 “왕십리역 6번 출구 옆 공터 정비, 어린이 통학 안전 대책 마련, 시니어 합창단 창단 추진 등 여러 민원을 해결했다”고 전했다.
블로그·페이스북·카카오 스토리 등 다양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서도 실시간으로 소통하고 있다. 정 구청장은 “섬김 행정은 주민과의 소통이 핵심”이라며 “30만 성동구민들을 직접 만나 의견을 듣고 어려움은 해소해 주는 소통 행정을 통해 더불어 행복한 성동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8-02-22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