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육교의 퇴장 … 보행자 중심 X자 횡단보도

윤수경 기자
수정 2018-04-10 22:12
입력 2018-04-10 21:48
서대문 북가좌초교 사거리 교통해법 찾다
“대각선 횡단보도는 북가좌마을계획단, 학부모, 학교가 만들어낸 산물입니다.”
대각선 횡단보도를 처음 제안한 것은 북가좌마을계획단과 북가좌초 학부모였다. 학부모들은 무용지물인 육교의 철거를 주장했다. 상당수 아이가 육교를 오르내리는 것보다 횡단보도로 돌아가는 것을 선호했기 때문이다. 또 유모차나 휠체어를 이용하는 주민도 불편을 겪었다. 하지만 학교 측은 ‘육교가 횡단보도보다 안전할 것’이라는 인식 때문에 육교 존치를 주장했다.
이견이 있던 ‘육교 철거’ 문제는 소통으로 풀렸다. 주민과 학부모, 학교가 바라는 것은 모두 아이들의 안전이었다. 안전이 담보된다면 학교 측도 반대할 이유가 없었다. 북가좌초 녹색어머니회가 북가좌1동 마을총회 때 개선안 발표를 주도했다. 학부모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단순한 육교 철거가 아닌 대각선 횡단보도 개선안이 함께 올라가면서 82%의 높은 찬성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구는 대각선 횡단보도에 녹색불이 들어오면 사거리의 모든 차량이 멈추도록 했다. 보행자를 우선으로 한 것이다. 또 응암로는 시속 50㎞에서 40㎞로, 거북골로는 60㎞에서 40㎞로 하향 조정하고 단속 카메라 기준 속도도 변경했다. 또 사괴석(정육면체 형태의 돌)과 미끄럼방지 포장을 설치했다. 보행 신호 시 우회전 금지 표지판, 야간 보행자 안전을 위한 횡단보도 집중조명시설, 발광형 점자 블록, 발광다이오드(LED) 교통안전표지 등을 추가했다.
북가좌초에 다니는 이서연(12)양은 “학교 대각선 방향에 있는 슈퍼에 가려면 횡단보도를 두 번 건너야 해서 건너편 횡단보도 신호가 바뀔 때마다 마음이 조급했다”며 “이제 한 번에 다닐 수 있게 돼 편해졌다”고 말했다.
문 구청장은 “마을과 소통하는 동주민센터와 녹색어머니회의 자발적 참여로 마을 숙원사업이 원만히 이뤄졌다”며 “보행자를 우선하는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8-04-11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