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佛 국민운동 ‘파쿠르’에 빠진 금천 할매들
최훈진 기자
수정 2018-05-15 17:47
입력 2018-05-15 17:36
신바람 나는 할머니학교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1980년대 프랑스 파리에서 시작된 파쿠르는 도심·자연 환경 속 장애물을 활용해 효율적으로 이동하는 훈련을 말한다. 영국에서는 2016년 정식 국민스포츠로 지정될 정도로 인기가 높다.
지난 3월 30일 개강한 2기 할머니학교의 두 번째 특강이 열린 날이다. 특강 연사로 매달 한 번씩 초청되는 조한혜정(문화인류학자) 연세대 명예교수는 이날 ‘나이는 없다. 잘 늙어가는 것’이란 주제로 짧게 강연한 뒤 ‘파쿠르제너레이션즈코리아’ 소속 문현정 강사에게 진행을 넘겼다.
조한 교수의 제자이기도 한 문 강사는 먼저 다소 생소한 파쿠르의 개념을 유튜브 영상을 통해 차근차근 설명했다. 한 손으로 장애물을 짚고 뛰어넘거나 벽에 매달려 옆으로 이동하는 동작이 나오자 우려 섞인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왔다. 만 64~69세인 할머니학교 수강생이 따라하기엔 무리라는 눈치였다.
이에 문 강사는 “정해진 것 없이 누구나 자신이 위치한 자리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면 된다”며 “움직임을 통해 상대방과 교감하며 놀이로 승화시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기어가기, 도약하기, 균형잡기 등이 파쿠르의 기본 동작이다. 그 밖의 동작도 얼마든지 응용하거나 새롭게 창조해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
구청 지하 1층 다목적실에서 금나래중앙공원까지 약 90분 동안 수업이 이뤄졌다. 걱정이 가득했던 할머니학교 수강생들의 표정이 금세 밝아졌다. 장금순(65)씨는 “젊지도 않지만 노인이라고 보기엔 좀 애매한 그런 나이가 65세부터 70세”라면서 “할머니학교에서 새로운 시도를 할 때마다 아직 우리도 할 수 있는 게 많다는 자신감이 생긴다”고 말했다.
할머니학교 명예학교장인 차 구청장은 “할머니들 대부분 평생 가족을 위해 바삐 살다가 아플 때 비로소 자신의 몸을 들여다본다”면서 “파쿠르를 통해 걸음걸이의 속도나 작은 몸짓만 바꿔도 새로운 신체적·정신적 경험을 하게 된다는 걸 깨닫게 되셨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8-05-1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