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우문현답… 17년 숙원 푸는 박준희 ‘골목대장’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수정 2018-08-15 01:32
입력 2018-08-14 23:04

남현동 민원 해법 찾은 관악구청장

“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14일 서울 관악구 남현동 백제요지근린공원과 맞닿아 있는 골목을 찾은 박준희(가운데) 관악구청장이 구 관계자와 지적측량 경계점을 확인하며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최해국 선임기자seaworld@seoul.co.kr
14일 서울 관악구 남현동 백제요지근린공원과 맞닿아 있는 골목을 찾은 박준희(가운데) 관악구청장이 구 관계자와 지적측량 경계점을 확인하며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최해국 선임기자seaworld@seoul.co.kr
14일 서울 관악구 남현동의 백제요지근린공원과 맞닿아 있는 좁은 골목. 박준희 관악구청장이 구 관계자들과 현장을 찾았다. 200m 길이 골목 한쪽은 차량 진입이 어려울 정도로 좁았으며 반대편으로는 겨우 차 한 대가 지나갈 만했다. 그때 차 한 대가 건물 필로티에 주차하기 위해 후진으로 골목에 들어섰다. 공원 옹벽과 차량 사이의 공간이 거의 없어, 이리저리 움직이던 운전자는 5분 넘게 헤매며 주차를 했다. 해당 지역 주민들은 2001년부터 구청에 진정서를 제출, 소방도로를 개설해 줄 것을 구에 요청해 왔다. 하지만 17년 넘게 답보 상태였다.

앞서 지난달 18일 박 구청장은 해당 지역 주민들과 마주 앉았었다. 그는 “제가 평소 구청장실 문을 활짝 열어두다 보니 이 일대 주민들이 민원을 들고 찾아왔다”며 “주민 이야기를 듣다 보니 직접 현장에 가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면담 다음날 박 구청장은 곧바로 현장을 찾았다. 박 구청장은 “제가 가장 중시하는 신조 중 하나가 ‘우문현답’인데, ‘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를 줄여 만든 말”이라며 “늘 현장에서 주민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소통과 협치 구정을 펼치겠다는 의지”라고 소개했다.

사실 해당 지역 주민의 민원이 끊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17년 동안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이유가 있었다. 구 관계자는 “주민들의 요구대로 도로를 확장하려고 알아보니 공원 부지에 대한 대체 부지를 마련해야만 했다”며 “보상 10억원, 공사 9억원, 대체공원 54억원 등 총사업비가 73억원이 필요하다 보니 엄두를 낼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박 구청장은 주민, 관계자들과 대책 회의를 거쳐 민원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냈다. 그는 “현장답사를 통해 지적측량 경계점을 확인해 보니 옹벽이 도로 쪽으로 0.2~0.5m 침범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지적선에 따라 옹벽만 재설치해도 주민들이 불편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지적선대로 옹벽을 다시 세우는 것뿐이다 보니 공원 대체 부지를 마련할 필요가 없었다. 소요 사업비도 1억원 정도면 충분했다. 박 구청장은 “내년에 옹벽을 재설치하면서 이 낡은 하수관도 교체하고 도로포장도 교체하는 것까지 포함해 1억원 정도 예산을 반영해 시행하기로 했다”며 “손뼉을 치며 기뻐하는 주민의 모습을 보면서 뿌듯함을 느꼈다. 앞으로도 ‘우문현답’의 자세로 일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8-08-1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